• 최종편집 2025-08-06(수)

IT
Home >  IT

  • 수세, 해양경찰청 AI 기반 해상 운영 시스템 구축 지원
    수세(SUSE)가 해양경찰청(Korea Coast Guard)의 AI 기반 해양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다. 해양경찰청은 SUSE 솔루션을 활용해 해상 운영 시스템을 현대화함으로써 배포 시간을 75% 단축하고 비용을 30% 절감했다. 예산과 전문 IT 인력 부족이라는 어려움 속에서도 이처럼 놀라운 혁신을 이뤄냈다. 해경은 본부에 SUSE Rancher Prime을, 함정에는 경량화된 K3s 클러스터를 구축해 AI 기반 분석, 예측 정비, 실시간 해상 감시 등 미래 기술 발전을 위한 확장 가능한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SUSE의 Multi-Linux Support를 통해 혼합 리눅스 환경 전반의 총 리눅스 비용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했다. 1953년에 설립된 해양경찰청은 대한민국의 해양 주권을 수호하고, 해상에서의 공공 안전을 보장하며, 해양 환경을 보존하는 중앙 행정 기관이다. 해양 재난 대응, 불법 어업 단속, 수색 및 구조 작전 등 광범위한 임무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해양 감시, 예측 분석 및 작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지털 및 AI 기술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해양경찰청의 정보 및 통신 인프라 전반(프로젝트 기획, 실행, 검사 및 유지보수)을 총괄하는 정보통신과는 중요하고 가치 있는 데이터가 여러 시스템에 흩어져 있고 저장 및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현대화의 필요성을 느꼈다. 열악한 해상 환경으로 인해 함정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았다. 많은 함내 시스템이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했고, 팀원들은 중앙화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체계 없이 수동으로 데이터를 관리했다. 이러한 분산된 접근 방식은 중요한 정보의 활용을 제한했다. 또한 각 함정은 서비스 종료(EOS) 시점에 도달한 CentOS 및 Red Hat 버전을 포함해 서로 다른 리눅스 기반 운영 체제를 사용하고 있어 심각한 보안 취약점과 운영 위험이 발생했다. 이에 대응해 정보통신과는 해양 보안 강화를 위한 첫걸음으로 2024년 하반기에 디지털 함정 시스템 개발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기존 인프라를 실시간 데이터 통합, 디지털 트윈 기술, 고급 분석을 지원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쿠버네티스 기반 플랫폼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궁극적으로는 실시간으로 해상 영상 및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비정상적인 패턴을 감지하며, 경비 함정의 자율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AI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했다. 또한 엔진 성능과 같은 핵심 장비 지표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시각화해 예측 정비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몇 가지 제약이 있었다. 예산 제약으로 인해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이 필요했다. IT 인력 부족(해경의 순환 근무 주기로 인해 더욱 심화)은 업무 연속성을 방해하고 내부 쿠버네티스 전문 지식을 부족하게 만들어 유지보수가 필요한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기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팀은 장기적인 역량 성장을 지원하면서 즉각적인 운영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유연한 솔루션을 찾기 시작했다. 김영수 해양경찰청 정보통신과 사무관은 “예산 제약, 인적 자원 부족, 촉박한 기한 등 모든 제약 조건을 고려했을 때 SUSE Multi-Linux Support와 SUSE Rancher Prime이 우리 디지털 함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라고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해양경찰청은 여러 선도적인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및 다양한 OS 지원 솔루션들을 평가했다. 정보통신과는 특히 사용 편의성, 배포 유연성, 운영 효율성, 그리고 엄격한 공공 부문 제약 조건 준수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했다. SUSE Rancher Prime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낮은 운영 복잡성 덕분에 최고의 쿠버네티스 관리 플랫폼으로 선정됐다. 해경의 주기적 순환 근무 체계로 인해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비전문 인력이 컨테이너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또한 다양한 리눅스 환경을 지원하고 특정 벤더에 종속되지 않는 아키텍처는 해경의 다양한 함정 구성에 맞춰 사용할 수 있어 큰 장점이었다. 해경의 계획에 따르면 SUSE Rancher Prime은 해경 본부에서 전체 인프라 관리를 중앙 집중화하며, 운항 중인 함정이나 원하는 모든 환경에 경량 쿠버네티스를 배포할 수 있도록 한다. SUSE Rancher Prime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SUSE Multi-Linux Support는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을 하나의 통합된 지원 체계 아래에서 관리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서비스 종료(EOS) 상태에 이른 CentOS 및 Red Hat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던 해경에 특히 매력적인 기능이었다. 이를 통해 기존 시스템을 교체할 필요 없이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고, 관리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 해양경찰청은 시스템 통합업체와 협력해 해경 본부와 시범 함정에 SUSE 솔루션을 통합했다. SUSE Rancher Prime과 SUSE Multi-Linux Support는 본부에 중앙 집중식으로 구축됐고, 함정에는 성능 최적화를 위해 경량 K3s 배포판이 직접 설치됐다. 이 인프라는 HPE HCI 및 Supermicro GPU 서버에서 실행되는 VMware VM 및 KVM 기반의 프라이빗 IaaS 환경에서 운영된다. 이 아키텍처는 한국의 AI 정책 이니셔티브에 맞춰 AI 및 분석 작업을 위한 다목적의 강력한 기반을 제공한다. 배포 시간 75% 단축 SUSE Rancher Prime은 인프라 구축 시간을 단 1주일로 단축하며 해경의 배포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가속화했다. 이는 유사한 배포에 보통 몇 달이 걸리는 경쟁 솔루션보다 75%나 빠른 속도다. 김영수 해양경찰청 정보통신과 사무관은 “SUSE Rancher Prime의 낮은 기술적 복잡성 덕분에 경쟁사 솔루션과 비교해 약 4분의 1의 시간으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신속한 배포 덕분에 해경은 지연 없이 디지털 전환 이니셔티브를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었다. 해양경찰청은 SUSE Rancher Prime 덕분에 경쟁사의 라이선스 구조와 비교해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 김영수 사무관은 “SUSE Rancher Prime의 라이선스 정책 덕분에 비용을 30% 절감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비용 효율성은 빠듯한 공공 예산을 관리하고 프로젝트의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SUSE Linux 솔루션의 일부인 SUSE Multi-Linux Support를 통해 해양경찰청은 서비스 종료(EOS)된 CentOS 및 Red Hat Enterprise Linux 버전을 포함해 함정 전반에 걸쳐 다양한 리눅스 운영 체제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이 솔루션은 지속적이고 통합된 보안 업데이트 및 패치를 제공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드는 업그레이드나 교체 없이도 여러 시스템에 걸친 보안 공백을 효과적으로 없애준다. 특히 중요한 점은 SUSE Multi-Linux Support가 다양한 함정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서로 다른 운영 체제를 하나의 라이선스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복잡성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었다. 해양경찰청은 해상에서 발생하는 불안정한 네트워크 연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각 함정에 K3s 기반의 탄력적인 엣지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아키텍처 덕분에 함정의 주요 시스템은 중앙 시스템과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어져도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고 저장하며 자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엣지 컴퓨팅 기반은 해경의 디지털 트윈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 함정에 탑재된 경량 K3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엔진 성능 모니터와 같은 주요 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결이 복구되면 이 데이터를 중앙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한다. 이를 통해 각 함정의 가상 모델이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돼 실시간 상황 인식과 예측 정비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SUSE Rancher Prime의 간소화된 인터페이스는 운영 복잡성을 줄여 해양경찰청의 제한된 IT 인력이 대규모 쿠버네티스 및 컨테이너 운영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이 솔루션은 본부의 핵심 인프라와 함정에 분산된 K3s 엣지 클러스터들을 하나의 통합된 인터페이스로 관리한다. 이러한 중앙 집중식 제어는 데이터 센터에서부터 전술 엣지에 이르는 전체 쿠버네티스 환경에 걸쳐 원활한 가시성과 조정을 제공해 운영을 단순화한다. 해경 인력 대다수가 주기적으로 순환 근무하는 경찰관이며 전담 IT 전문가가 소수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단순화는 특히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이를 통해 벤더 종속을 피하면서도 전문성을 지속하고 운영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SUSE Rancher Prime과 SUSE Multi-Linux Support가 결합된 인프라는 첨단 데이터 분석 및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이상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해양경찰청은 디지털화된 장비 매뉴얼로 훈련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구축해 SUSE Rancher Prime이 관리하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 LLM은 자동 질의응답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SUSE 솔루션 기반의 인프라는 다른 부서가 주도하는 해양 영역 인식 프로젝트(Marine Domain Awareness project)를 지원해 더 광범위한 해양 상황 인식 노력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정교한 AI 작업은 예측 정비 전략, 디지털 트윈 기술, 실시간 해상 감시를 강화하며, 해양경찰청을 해양 보안 혁신의 선두에 서게 한다. SUSE의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기술 지원은 해양경찰청의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했다. 이 지원에는 종합적인 교육 프로그램, 분기별 시스템 점검, 그리고 클러스터 통합을 위한 전문 컨설팅이 포함돼 배포된 솔루션의 지속적인 최적화와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는 운영 비용과 관리 부담을 줄일 뿐만 아니라 해양경찰청 인력이 장기적인 운영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높은 수준의 내부 기술 전문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디지털 함정 시스템 시범 프로젝트에서 입증된 성공과 안정성은 해양경찰청의 디지털 전환 목표를 확실하게 검증했다. 김영수 사무관은 “SUSE Rancher Prime은 해양경찰청이 쿠버네티스 및 AI 인프라에서 직면했던 리소스 효율성과 보안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성공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해경은 이제 시범 프로젝트를 미래 확장 계획의 청사진으로 삼아 더 광범위한 정보화 전략 계획(ISP)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경찰청은 모든 해상 관할 구역에 첨단 인프라를 확장해 AI 기반 감시, 데이터 분석, 예측 유지보수 기능을 포괄적으로 구현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AI 및 디지털 전환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공공 부문 IT 인프라 현대화 노력과도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또한 해양경찰청은 단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벤더로부터의 중앙 집중식 관리와 보안의 가치를 인식하고, SUSE의 컨테이너 보안 솔루션인 SUSE Security를 잠재적 통합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SUSE의 전문 교육, 정기 점검, 전문가 컨설팅 등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해양경찰청은 해상 보안 운영을 더욱 강력하고 지속 가능하게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 IT
    2025-08-06
  • SK AX, SBI저축은행 ‘AX 기반 IT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사업’ 착수
    SK AX가 생성형 AI와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금융권 IT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시장에서 ‘AX형 운영관리’ 혁신을 본격화하고 있다. SK AX(사장 윤풍영)는 5일 SBI저축은행 ‘AX 기반 IT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사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SK AX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3년간 SBI저축은행 전사 IT시스템 유지보수를 맡게 됐다. 이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수행한 1기 사업에 이은 연속 수주로, AX 파트너로서 신뢰와 성과를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다. SBI저축은행은 글로벌 금융그룹 SBI홀딩스 핵심 계열사로, 자산 규모 14조원에 달하는 국내 대표 저축은행이다. 비대면 앱 뱅킹 서비스 ‘사이다뱅크’를 통해 고객 맞춤형 상품을 공급함으로써 서민 금융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AI·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유지보수 전반에 걸쳐 생성형 AI와 운영 자동화 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했다는 점이다. SK AX는 SK텔레콤이 개발한 생성형 AI 기반 ‘AI회의록’을 SBI저축은행 업무 시스템에 반영했다. 이 솔루션은 고객사, 운영사, 협력사, 벤더 간 수시로 열리는 미팅 내용을 AI 회의록 형태로 자동 정리하고 공유할 수 있어, 운영관리에서 가장 번거롭고 반복적인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대폭 끌어올린다. 시스템 장애 대응 영역에서도 SK AX가 축적해 온 생성형 AI 운용 기술을 활용해 SBI저축은행이 자체적인 AI 기반 장애 분석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장애 대응 속도가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문제 재발 방지까지 포함하는 혁신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여러 대형 금융권 프로젝트에서 성능이 입증된 자체 API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 ‘에이티웍스(aTworks)’를 적용해 유지보수 품질 신뢰도를 한층 끌어올린다. 이 솔루션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연계를 위한 API 테스트를 자동화해, 시간당 최대 10만 건까지 테스트할 수 있으며, 금융권에서 주로 사용하는 TCP/IP 기반 전문 메시지 테스트도 지원한다. 이 외에도 SK AX는 장애 발생 건수, 동일 장애 재발률, 품질 개선 항목 수, 비용 효율화 성과 등 다양한 정량 지표 기반 성과관리 체계를 운영에 접목함으로써, 유지보수 품질을 데이터 기반으로 지속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SK AX 김남식 금융 사업본부장은 “SK AX는 국책은행, 증권사, 카드사, 보험사 등 다수 금융기관의 IT 운영 파트너로서 안정성과 신뢰를 축적해 왔다”며 “이번 사업 역시 단순한 유지보수를 넘어, SBI저축은행이 종합금융사 수준에 준하는 디지털 운영 역량을 갖추도록 돕고, AX 시대에 걸맞은 업무 방식과 변화 관리를 함께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IT
    2025-08-05
  • 컴트루테크놀로지 보안 솔루션 ‘Sphinx AI’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록
    컴트루테크놀로지가 개발한 생성형 AI 데이터 보안 솔루션 ‘Sphinx AI(스핑크스 에이아이)’가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을 완료했다. 이번 등록으로 공공기관 및 공공기관 산하기관은 별도의 입찰 절차 없이 디지털서비스몰을 통해 ‘Sphinx AI’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도입할 수 있게 됐다. ‘Sphinx AI’는 생성형 AI 및 LLM(Large Language Model)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보안 솔루션으로, AI 서비스 활용 시 입력 프롬프트에 포함될 수 있는 민감 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보호한다. 개인정보, 기업정보, 금융정보 등 다양한 민감 데이터를 탐지해 사전 차단함으로써 생성형 AI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Sphinx AI’는 ChatGPT(챗지피티), Claude(클로드), Gemini(제미나이), Copilot(코파일럿), HyperClovaX(하이퍼클로바엑스) 등 주요 상용 LLM과 연계가 가능하며, 기업 내부에서 자체 구축한 사내형 LLM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에 맞춰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최근 국가정보원이 모든 중앙 부처 및 광역 지자체,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활용 시 개인정보 및 민감 정보 보호 대책 마련을 요청함에 따라 공공기관 내 생성형 AI 보안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컴트루테크놀로지는 Sphinx AI의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록을 통해 공공시장 진입의 기반을 본격적으로 마련하게 됐다며, 생성형 AI 활용 과정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개인정보 및 기업 기밀 유출 문제를 해결하려는 공공기관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컴트루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AI) 및 정보보안 전문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생성형 AI 환경에서의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는 데이터 보안 솔루션 ‘Sphinx AI’를 비롯해 OCR 및 안면인식 기술 기반의 ‘aiSee’, 비대면 본인확인 솔루션 ‘eKYC aiDee’, AI 이미지 개인정보 검출 기능을 탑재한 ‘셜록홈즈 정보보안 솔루션’ 등이 있다.
    • IT
    2025-08-05
  • 수호아이오와 한국조폐공사, 외국 관광객 대상 디지털 신원 인증 위해 협약
    수호아이오(대표이사 박지수)가 지난 1일 한국조폐공사(ICT 이사 한성민)와 ‘디지털 전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각 기관이 보유한 기술력과 전문성을 연계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결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고도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외국인 관광객 대상 디지털 신원 인증 및 PBM 결제 플랫폼 공동 개발 △정부 과제 공동 참여를 통한 국내외 디지털 전환 실증처 발굴 △차세대 디지털 상품권 플랫폼 개발 시 공동 개발 협의 등 실질적인 디지털 금융 혁신과 인프라 구축을 위한 협력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수호아이오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혁신적인 결제 솔루션 개발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들이 언어 장벽이나 환전의 불편함 없이 편리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한국 관광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실질적 성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수호아이오(SOOHO.IO Inc.)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디지털 자산 상호운용 솔루션을 개발하는 핀테크 기업이다. 2019년 설립된 이래 자체 개발한 크로스체인 프로토콜과 첨단 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금융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 왔다. 주요 제품으로는 금융기관의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을 위한 상호운용 플랫폼 ‘터치스톤(Touchstone)’ 등이 있다.
    • IT
    • 블록체인
    2025-08-04
  • 쿠콘, 현대해상에 외국인 보험가입자 청약 관련 서류 등록 간소화 체계 구축
    쿠콘(대표 김종현)이 현대해상에 ‘We-Check’ 서비스를 제공해 외국인 보험가입자를 위한 청약 관련 서류 등록 간소화 체계를 구축했다. 이로써 현대해상 외국인 고객은 보험 가입 시 더 이상 증명서를 직접 발급받아 스캔해 제출할 필요가 없어졌다. 알림톡으로 전송된 링크를 통해 본인 인증만 거치면 필요한 서류가 자동 제출되며, 이후 보험사 내부 심사도 한층 신속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변화는 쿠콘의 We-Check를 통해 가능해졌다. We-Check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모바일에서 공공기관의 증명서를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제출할 수 있는 서비스다. 현대해상은 여기에 ‘외국인등록 사실증명 조회’ API를 함께 도입해 고객 편의는 물론 내부 심사 프로세스의 효율성까지 크게 높였다. 최근 보험업계는 ESG 경영 실천과 더불어 고객 편의성 및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페이퍼리스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가입자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번 현대해상의 쿠콘 API 도입은 보험 신계약 청약 관련 서류 등록의 디지털화와 심사 시스템 정합성 확보를 위한 선도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쿠콘 김종현 대표는 “이번 협업은 고객 경험 개선은 물론 보험사의 내부 업무 프로세스까지 혁신한 대표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금융기관과 협력해 실질적인 업무 혁신과 ESG 경영을 지원하는 데이터 플랫폼으로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해상은 외국인등록 사실증명 조회 API 외에도 △대법원 증명서 열람(가족관계증명서 등) △헬스케어 패키지 △자동차 사양정보 조회 등 쿠콘의 다양한 API 서비스를 도입하며 고객 중심의 디지털 생태계를 적극 확장해 나가고 있다.
    • IT
    2025-08-04
  • LG CNS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3사 생성형 AI 전문 인증 모두 획득
    LG CNS(대표 현신균)가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애저(Azure)로 AI 앱 빌드 전문 기술 역량(Build AI Apps on Microsoft Azure Specialization)’ 인증을 획득했다. 이로써 LG CNS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3사(마이크로소프트, AWS,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 인증을 모두 보유한 국내 유일 기업이 됐다. 이번 인증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를 기반으로 한 △AI 애플리케이션 설계·구축·운영의 사업 성과 △기술력에 대해 제3자 감사를 통과하고 △고객 성공 사례 △직원 역량 강화 등의 엄격한 기준을 충족한 파트너만이 획득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자격이다. LG CNS는 제조·금융·공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애저 오픈AI △애저 AI 서비스 △애저 앱 서비스 등 최신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AI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AI 자격증 등 글로벌 공인 인증을 보유한 전문가 그룹을 통해 기술력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AI·클라우드 등 AX 분야에서 전방위적인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양사는 AI 도입을 고민하는 기업들이 실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도입 효과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이노베이션 저니 워크숍(Innovation Journey Workshop)’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 중이다. 지난 3월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에서는 LG CNS가 프리미어 파트너로 참여해 제조·금융 등 산업 분야에서 생성형 AI를 이용한 혁신 사례를 선보였다. 전략적 협력의 일환으로 LG CNS는 ‘MS 론치 센터(MS Launch Center)’와 ‘MS Cloud 팀’ 등 전담 조직도 운영 중이다. 애저에 특화된 클라우드 아키텍트와 AI, 앱 현대화(Application Modernization) 전문가가 투입돼 기업 맞춤형 AI·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기반 AI에 파인튜닝, 검색증강생성(RAG),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 LG CNS만의 전문화된 기술을 결합해 차별적 고객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LG CNS는 제조기업 A사의 제품 설계 업무에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기반의 생성형 AI 지능화 검색 서비스를 구축했다. 직원들이 업무 중 발생한 문제나 궁금한 사항에 대해 채팅창에 질의하면 생성형 AI가 제품 설계 지침서, 과거 설계 이슈를 해결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한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기반 AI에 제조기업 A사가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를 파인튜닝해 수백·수천 페이지의 지침서는 물론, 베테랑 직원들의 노하우까지 모두 담은 지능형 AI 질의응답 서비스를 구축했다. 앞서 LG CNS는 국내 기업 최초로 AWS의 ‘생성형 AI 컴피턴시(AWS Generative AI Competency)’ 인증을, 아시아 기업 최초로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기업(Generative AI Service Specialization)’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LG CNS는 고객 맞춤형 AI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멀티 엔진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AI는 물론, LG AI연구원의 ‘엑사원(EXAONE)’, 글로벌 AI 유니콘 기업 코히어와 공동 개발한 추론형 LLM 등을 활용해 고객 서비스 특성과 목적에 따라 최적의 AI 모델을 유연하게 구축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장 김태훈 전무는 “글로벌에서 공인받은 AX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업 고객의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통해 차별적 고객 가치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IT
    2025-07-31

실시간 IT 기사

  • 서틱, 이더리움 재단으로부터 연구 지원금 받는다
    Web3 보안기업 서틱(CertiK)이 이더리움 재단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연구 지원금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두 건의 연구 지원금을 획득했다. 이는 zkEVM(영지식 이더리움 가상 머신) 정형검증 분야에서의 성과로, 이더리움 확장성 전략의 중요한 이정표이자 영지식 증명(ZKP) 시스템 정형검증 분야에서 서틱이 보유한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이다. 이번 지원금 획득의 핵심은 서틱의 차별화된 ‘고급 정형검증’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존 방식과 비교해 네 가지 측면에서 주요 혁신을 이뤘다. △첫째, 추상적인 모델이 아닌 실제 코드를 직접 검증한다. △둘째, 일반적 특성을 넘어 코드의 고유한 속성을 심층적으로 검증한다. △셋째, 자동화된 프레임워크로 수동으로 다루기 힘든 복잡한 검증을 해낸다. △넷째, 학계 수준을 넘어 대규모 실제 서비스 환경에 바로 적용 가능하다는 강점을 지닌다. 주목할 점은 서틱이 설립 초기부터 정형검증을 핵심 기술로 삼아 학술 연구 성과를 실제 Web3 프로젝트의 고신뢰 보안 서비스로 연결해 왔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술적 우위 덕분에 서틱은 복잡한 영지식 증명 시스템 검증에 특히 강점을 보인다. 일례로 서틱은 지난해 zkWasm 회로에 대한 업계 최초의 완벽한 정형검증을 성공시켜, 복잡한 영지식 회로의 전면적 정형검증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서틱의 정형검증 기술은 zkWasm, TON 메인넷 컨트랙트, Cosmos SDK 등 다양한 Web3 핵심 프로젝트와 앤트 그룹(Ant Group)의 HyperEnclave TEE, Asterinas OS, SGX TRTS SDK 등 핵심 인프라에 광범위하게 적용돼 기술의 폭넓은 활용성과 높은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다. zkEVM은 영지식 증명을 활용해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혁신하는 기술이다. 거래 연산을 오프체인으로 처리하고 그 유효성을 간결한 증명으로 검증해 비용 절감과 처리량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zkEVM의 복잡성은 새로운 보안 리스크를 내포하며, 이를 해결하고 정확성과 안전성을 담보하는 핵심 도구가 바로 정형검증이다. 정형검증은 수학적 방법을 통해 시스템이 예상 가능한 모든 조건에서 올바르게 작동함을 증명함으로써 취약점이나 예기치 않은 동작을 방지한다. 한편 CertiK은 예일대와 컬럼비아대 교수 두 명이 2018년에 설립한 곳으로 현재까지 4100개 이상의 기업과 협력해 7만 개 이상의 블록체인 코드 취약점을 탐지한 바 있다. 고객으로는 Aptos, Ripple, Sandbox, Polygon, BNB Chain 및 TON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 등이 있다. 또한 CertiK은 Insight Partners, Sequoia, Tiger Global, Coatue Management, Lightspeed, Advent International, SoftBank, Hillhouse Capital, Goldman Sachs, Coinbase Ventures, Binance, Shunwei Capital, IDG Capital, Wing, Legend Star, Danhua Capital 등 VC들에게 투자를 받았다.
    • IT
    • 블록체인
    2025-05-15
  • 에너자이 77억 원 규모 브릿지 투자 유치, 누적 투자금 120억 원
    에너자이(대표 장한힘)가 총 77억원 규모의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에너자이의 누적 투자금액은 120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한국산업은행, K2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기존 투자사인 한국투자파트너스도 후속 투자를 이어갔다. 2019년 설립된 에너자이는 ‘모든 이들이 모든 사물을 통해 최고의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이라는 비전 아래 AI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독보적인 AI 추론 최적화 기술을 보유해 AI 모델의 낮은 추론 성능으로 인한 제품 및 솔루션 경쟁력 저하와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에너자이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Intel, Arm, NVIDIA, Qualcomm, Renesas Electronics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에너자이가 개발한 ‘Optimium’은 대상 하드웨어에서 정확도 손실 없이 AI 추론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차세대 AI 추론 엔진이다. 현재 CPU 대상 모델의 최적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기존 AI 추론 엔진 대비 속도와 효율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력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25년 4월 Optimium은 에지 AI 및 비전 얼라이언스(Edge AI and Vision Alliance)가 수여하는 ‘2025 올해의 제품상(The Product of the Year)’ 중 ‘최우수 에지 AI 개발 플랫폼’ 부문에 선정됐다. Optimium은 디바이스 제조사들이 활용하는 AI 모델의 속도와 처리량을 크게 개선해 에지 AI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반도체 팹리스 및 IP 기업들이 고객사에 더욱 향상된 AI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에너자이는 저비트·저메모리 기반 AI 모델을 Optimium 기반의 최적화된 커널과 결합해 제한된 사양의 에지 디바이스에서도 효율적인 AI 실행을 가능케 한다. 이번 투자에 참가한 K2인베스트먼트의 권혁률 전무는 “에너자이는 AI 추론 최적화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시장 내 입지를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적용이 가속화되고, 새롭고 복잡한 AI 모델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상황에서 에너자이의 기술은 핵심 인프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에너자이는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Optimium의 지원 범위 확대 및 성능 고도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인재 채용 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에너자이 정현우 최고전략책임자(CSO)는 “글로벌 경제 둔화로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AI 추론 최적화의 필요성과 당사의 기술력, 그리고 글로벌 확장 가능성에 대한 공감을 얻어 투자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이번 투자를 계기로 Optimium의 지원 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고객사 적용 사례를 확대하며, 글로벌 사업 기반을 본격적으로 다져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IT
    2025-05-14
  • 모노타입 한글 폰트 기업 디자인210 인수 발표
    모노타입(Monotype)이 국내 한글 폰트 기업 디자인210을 공식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모노타입은 한글 폰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디자인210의 로컬 전문성과 자산을 바탕으로 더욱 풍부한 글로벌 폰트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디자인210은 지난 수년간 1100종이 넘는 한글 폰트를 개발하며 방송 및 영화 등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서 사랑받아온 한글 폰트 전문 기업이다. 대표적인 인기 서체로는 210옴니고딕, 210도우넛, 210산토리니, 210수퍼사이즈 등이 있으며, 창의적인 디자인과 실용적인 사용성을 바탕으로 국내 디자이너들 사이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쌓아왔다. 이번 인수를 통해 모노타입은 디자인210이 보유한 폭넓은 폰트 라이브러리와 업계 전문성을 확보하게 됐으며, 급성장 중인 한국 시장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전반에 걸쳐 고품질 한글 서체에 대한 수요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이번 인수로 디자인210의 제품 구성이 더욱 다양화될 예정이며, 모노타입이 보유한 고품질의 글로벌 폰트들도 새로운 라이브러리에 추가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국 디자이너들은 더욱 풍부한 폰트 선택지와 함께 글로벌 확장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된다. 모노타입 스튜디오의 톰 릭너(Tom Rickner) 수석 디렉터는 “디자인210의 감성적이고 표현력이 뛰어난 한글 서체가 모노타입의 라이브러리에 추가돼 매우 기쁘다”며 “모노타입의 글로벌 유통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 수천 명의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들이 이 서체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모노타입 APAC 지역 총괄 유제이 첸(Yujie Chen) 수석 부사장은 “한국 브랜드는 오랜 시간 글로벌 디지털 혁신과 디자인을 선도해왔다”며 “디자인210의 라이브러리와 재능 있는 팀이 합류함으로써 국내외 고객이 더 독창적인 브랜드 경험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디자인210의 공동 창립자 곽두열 대표는 “디자인210이 모노타입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모노타입을 통해 전 세계에 한글의 아름다움을 소개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디자인210은 인수 이후에도 한국 내 브랜드명을 유지하며, 기존 고객 대상 서비스는 중단 없이 그대로 운영될 예정이다. 모노타입은 디자인210이 축적해온 한글 서체 개발 전문성을 존중하고 계승하는 동시에, 자사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투자 역량을 활용해 한국형 타이포그래피 연구, 혁신,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가속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모노타입은 폰트 및 서체 기술 전문 글로벌 기업으로, 전 세계 폰트 제작사들과 협력해 다양한 고품질의 폰트를 제공한다. Helvetica, Times New Roman, Gotham, Arial, Avenir, Gilroy, Frutiger를 포함해 25만 개가 넘는 폰트를 보유하고 있다.
    • IT
    2025-05-14
  • NHN KCP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8% 증가, 영업이익은 109억원
    NHN KCP(대표이사 박준석)가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연결 기준 매출액은 28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09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 인프라의 안정적인 성장과 함께 패션, 글로벌 뷰티, 유선방송 등의 업종에서 신규 가맹점을 확보하면서 견조한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며, 미래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신규 솔루션 개발에 필요한 전문 인력도 충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출에 기여하는 거래액은 11.8조원으로 국내외 대형가맹점들의 고른 성장에 따라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수입차 가맹점의 1분기 차량 인도량 감소와 함께 지난해 티몬과 위메프가 기업회생절차를 밟게 됨에 따라 해당 가맹점의 거래가 중단돼 총거래액은 일부 감소했다. NHN KCP는 1분기에는 가맹점 대상 서비스 고도화와 신기술 투자에 집중하며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힘썼다며, 앞으로도 결제 플랫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산업군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NHN KCP는 국내 1위 전자결제서비스 기업으로 간편결제·정산·보안 등 전방위적인 온라인 상거래 인프라를 제공해 왔으며, 지난해 전자결제서비스 기업으로는 최초로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했다. 향후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API 연계 강화 등을 통해 신기술과 연계해 고도화된 가맹점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 IT
    2025-05-13
  • SK C&C, SK AX로 사명 변경하며 AX 서비스 컴퍼니 도약 계획
    SK C&C(사장 윤풍영)는 13일 사명을 ‘SK(주) AX (이하 ‘SK AX’)’로 변경하고, AI 기술로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고객의 혁신을 이끄는 ‘AX Service Partner’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6월 1일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사명 ‘SK AX’는 AI 전환(Transformation)을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AI for Future(미래)’, ‘AI for Innovation(혁신)’, ‘AI for Expansion(확장)’, ‘AI for X(무한한 가능성)’의 의미를 바탕으로, AI를 통해 고객 가치를 실현하는 기업 정체성을 표현했다. SK AX는 이를 바탕으로 향후 10년 내 ‘글로벌 Top 10 AX 서비스 컴퍼니’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SK AX는 기존 IT서비스 역량을 AI 중심으로 재정의하고, 산업 전반에서 AI를 단순한 자동화 도구가 아닌 본질적인 혁신 수단으로 적극 활용한다. 이번 사명 변경을 계기로, 업무 방식과 조직, 시스템 전반을 AI 중심으로 전면 재설계하며, 전사적으로 ‘AI 디폴트 컴퍼니(Default Company)’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인간과 AI가 함께 일하는 ‘Human with AI, AI with Human’ 환경을 정착시키고, 전 사업에서 ‘AI First 방법론’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특히 SK AX는 업무 분석, 시스템 설계 및 구축, 지능형 자동화, 운영 최적화 등 전사 업무 체계 전반에 AI 기술을 적용해 2027년까지 전사 생산성을 30% 이상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업무 효율성과 서비스 품질을 동시에 높이고, 고객 맞춤형 AI 서비스의 실행력과 시장 대응 속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SK AX는 그룹 내 AI 기술, 데이터, 플랫폼 역량을 하나로 결집해 다양한 산업별 AI 혁신을 보여줄 ‘그랜드 유스 케이스(Grand Use Case)’를 기획하고 실행한다. 이미 제조업 불량률 감소, 금융 분야 고객 행동 예측, 에너지 산업 수요 예측 최적화, AI 컨택센터(AICC) 등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 고객 맞춤형 AI 전략 수립에서 실행, 확산까지 AI 혁신 전 주기를 책임지며, 실행 중심의 AI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제조 산업에서는 AI 기술과 현장 데이터, 숙련자 노하우를 융합한 ‘디지털 제조 혁신 모델’ 구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표 사례인 ‘AI 명장(Master)’은 숙련 작업자들이 가진 암묵지(暗默知)를 AI가 학습하고 스스로 보완하는 구조로, 숙련된 기술들을 디지털 자산으로 만들고 생산성과 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AI 혁신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AI를 활용한 물성 예측 기술도 관심을 받고 있으며, 향후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제품 개발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산업별 AI 혁신은 고객의 일하는 방식 변화로도 이어지고 있다. SK AX는 SK텔레콤과 협력해 일정 관리, 회의록 작성, 헬프 데스크 대응 등 반복 업무에 AI를 적용하는 ‘에이닷 비즈(A.Biz)’을 중심으로 업무 혁신을 확산하고 있다. 또한 법무·세무·PR 등 전문 영역을 지원하는 ‘에이닷 비즈 프로(A.Biz Pro)’는 SK 주요 계열사 도입을 목표로 개발 진행 중이며, 이후 외부 시장까지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AI 전환을 뒷받침할 인프라 역량도 함께 강화한다.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등과 협력해 고성능 GPU 자원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AI 데이터센터(AIDC) 구축을 지원하고, AI 서비스에 특화된 자원 운용 자동화, 실시간 상태 진단, 에너지 효율 최적화 기술 등을 적용해 인프라 운영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계획이다.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AI 워크로드 최적 분산, 데이터 통합 관리, 서비스 안정성 확보 등을 통해 고객의 대규모 AI 도입을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SK AX는 국내 산업 현장에서 검증된 AI 전환 모델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유럽과 북미 지역 주요 제조 기업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기반 공정 최적화, AI 기반 생산계획 자동화, 에너지 관리 최적화 등 현장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추진하며, 현지 파트너사들과 협력을 통해 산업 AI의 확장성과 실효성을 높여갈 예정이다. 국내에서 다져온 AI 기술과 실행 경험을 글로벌 제조 환경에 적용하며, 산업별 AI 혁신 기업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갈 방침이다. SK AX 윤풍영 사장은 “이번 사명 변경은 SK AX 스스로가 국내 최고의 AI 혁신 기업으로 재탄생하겠다는 선언”이라며 “SK AX가 고객의 페인 포인트를 AI와 최신 기술로 해결하고, 본질적인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는 AI 혁신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명확히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 IT
    2025-05-13
  • 스마틱스 ‘2025 올댓트래블’ 참여해 스마트 예약 시스템 기술 선보여
    스마틱스(대표 김인석)는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열린 ‘2025 올댓트래블’에 참가해 자사의 스마트 예약 시스템 기술을 선보였다. ‘2025 올댓트래블’은 이데일리, 코엑스, 한국관광스타트업협회, 한국스마트관광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 등이 후원하는 국내 대표 관광 B2B·B2C 통합 박람회로, 관광·레저 산업 전반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한 자리에서 소개하는 행사다. 스마틱스는 이번 전시에서 △날짜·시간 지정형 △좌석 지정형 △상시형 등 3가지 예약 시스템을 선보이며, QR코드 및 키오스크를 활용한 실시간 체험 방식으로 구성한 ‘직접 체험형 부스’를 운영했다. 실시간 체험 방식으로 단순한 설명을 넘어 실제 사용 경험을 제공한 점은 신뢰 형성에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B2B 실무진을 비롯한 방문객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스마틱스는 스마트 예약의 대중화를 목표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독형 서비스를 하반기 중 론칭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소규모 시설 및 자영업자들도 스마트 예약 시스템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스마틱스는 전국 300여 개 레저 및 문화 시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통합 티켓 관리 솔루션과 현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예약 솔루션 ‘메이크티켓(MakeTicket)’은 테마파크에 최적화돼 있으며, 레저, 공연,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예약 운영 시스템과 커스터마이징 개발까지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티켓채널매니저(TCM)’ 솔루션을 통해 네이버, 카카오, 야놀자 등 주요 판매 채널과의 연동을 지원하고 있다.
    • IT
    2025-05-13
  • 비즈플레이 SSG닷컴에 bzp비플식권 서비스 공급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혁신적인 B2E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SSG닷컴’에 모바일식권 솔루션 ‘bzp비플식권 서비스’를 공급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도입은 SSG닷컴이 기존 전자식권 서비스의 부족한 사용처 문제를 해소하고 임직원들의 메뉴 선택권을 확대하고자 가맹점 수가 많은 bzp비플식권 서비스를 채택한 사례다. 이를 통해 폭넓은 가맹점 이용으로 직원들의 복지 만족도 향상이 기대되며, 기업은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bzp비플식권 서비스는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식권 솔루션으로, 약 80만 개 제로페이 가맹점과 편의점 및 대형 프랜차이즈 등의 제휴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달앱 ‘요기요’와 연계해 배달 및 포장 주문도 가능하다. 이처럼 폭넓은 가맹점을 기반으로 사무실 근무를 비롯해 재택, 외근 등 여러 근무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식대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bzp비플식권 서비스는 기업의 식대관리 측면에서도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사용한도 및 사용처 등 맞춤형 식권 규정 설정 △사용내역 실시간 확인 △편리한 정산과 회계 연동 등을 통해 관리 업무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투명한 식대 예산 운영을 지원한다. 서비스 출시 3년 만에 1000여 개 기업이 도입한 bzp비플식권 서비스는 현재 약 8만 명의 임직원이 사용 중이다. △대기업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처럼 규모가 큰 기관은 물론, △중소기업 △개인병원 등 소규모 기관의 도입도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기업의 효율적인 복지예산 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B2E (Business to Employee)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비즈플레이는 앞으로 식권 외에도 출장·복지 등 다양한 B2E 솔루션을 통해 기업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2014년 6월 웹케시 사내 벤처로 출발한 비즈플레이는 독자 비즈니스 추진을 위해 같은해 12월 별도 법인으로 분사했다. 2016년 9월 ‘경비지출관리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리포지셔닝하고 새롭게 출범했다. 기업의 무증빙 경비지출관리를 위해 비즈플레이는 국내 최초로 법인 카드는 물론 개인 및 해외 카드 실물 영수증이 필요 없는 전자적 경비지출관리를 구현하고, 기업 전체 경비지출 현황을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IT
    2025-05-13
  • LG CNS 신한은행에 챗GPT 기반 기업용 AI 서비스 성공적 구축
    LG CNS가 신한은행 직원과 고객을 위한 챗GPT 기반의 기업용 AI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가 지정한 10개의 생성형 AI 활용을 위한 혁신금융서비스 가운데, 신한은행이 LG CNS와 협력해 가장 먼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금융권 AX 사업을 석권하고 있는 LG CNS의 사업 경쟁력이 또 한 번 입증된 셈이다. LG CNS는 신한은행 직원의 업무를 돕는 ‘생성형 AI 금융지식 Q&A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의 챗봇을 챗GPT와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등으로 고도화한 버전이다. 신한은행의 업무지식, 상품설명서 등 10만 건이 넘는 방대한 금융 지식을 바탕으로 답변해 직원의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신한은행에서 발행하는 대출상품 알려줘’, ‘A 저축상품 가입 시 가입자별 필요한 서류 알려줘’와 같은 질문을 하면 즉각 답변한다. 특히 LG CNS는 정확한 답변 생성을 위해 △복잡한 금융 문서를 구조화하는 파싱(Parsing) 엔진 개발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청킹(Chunking) 기반의 하이브리드 검색기 설계 △최신 자료를 지속 업데이트·관리할 수 있는 비정형 데이터 관리 자동화 체계 구축 등을 진행했다. 고객 서비스도 챗GPT로 고도화했다. 신한은행의 대고객 서비스 ‘AI 브랜치’에는 다양한 창구 업무를 실제 행원처럼 처리하는 AI 은행원이 있다. AI 은행원은 입출금 계좌 및 체크카드 신규 발급, 외화 환전, 금융 문의 등 다양한 창구 업무를 실제 행원 대신 수행한다. 챗GPT로 성능이 강화된 AI 은행원은 창구 업무 수행 중 고객 문의에 챗GPT를 활용해 보다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응답한다. 챗GPT 기반의 AI 은행원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내 오픈 예정이며 서소문 지점을 시작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보안도 강화했다. 챗GPT 도입에 따른 보안 인프라 강화를 위해 LG CNS는 자체 생성형 AI 보안 전문 솔루션 ‘시큐엑스퍼(SecuXper) AI’를 적용했다. 이 솔루션은 생성형 AI 서비스에 입력되는 이상 행위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신한은행 직원, 고객의 개인정보가 챗GPT로 넘어가지 않도록 막는다. 챗GPT에 대한 외부 공격과 비윤리적인 질문이 탐지되면 사전에 차단해 서비스 안전성을 강화한다.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장 김태훈 전무는 “이번 서비스는 금융 AX 강자로 자리매김한 LG CNS의 기술 역량과 신한은행의 금융 업무 노하우를 결합한 성과”라며 “금융권 차세대 사업에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LG CNS의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 CNS는 금융권의 망 분리 규제 대응 지원을 위해 △망 연계를 위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축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 컨설팅 △생성형 AI 보안 거버넌스 수립·운영 지원 △가명정보처리 컨설팅 및 기술지원 등의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IT
    2025-05-12
  • 엑솔라, 코드 프리 소셜 퀘스트 플랫폼 Ludo 인수
    엑솔라(Xsolla)는 코드 프리(code-free) 소셜 퀘스트를 통해 커뮤니티 참여를 유도하도록 설계된 플랫폼인 루도(Ludo) 인수를 발표했다. 비디오 게임 업계 1위 웹샵 제공업체로 500개 이상의 웹샵 출시 경험을 보유한 엑솔라와 루도는 게임 개발자들을 위해 모바일 플레이어의 경험을 한 차원 더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루도와 엑솔라의 통합은 커뮤니티 퀘스트(Community Quests)를 엑솔라 에코시스템에 도입하여 개발자에게 게임화된 소셜 경험을 통해 참여를 유도하는 간편한 내장형 방식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통합은 플레이어 활성화에 대한 루도의 전문성과 엑솔라의 강력한 커머스 인프라가 결합하여, 게임 플레이에서 웹 기반 구매로 이어지는 원활한 경로를 만들고 커뮤니티 참여를 수익 창출 행동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한다. 이제 개발자는 이러한 기능을 루도의 커뮤니티 중심 퀘스트 도구와 결합하여 완전한 참여 순환 고리(full-circle engagement loops)를 만들 수 있으며, 추가적인 개발 부담 없이 수익을 증대하고, 충성도를 높이며, 플레이어 기반을 확장할 수 있다. 엑솔라의 최고전략책임자 크리스 휴이시(Chris Hewish)는 “루도를 엑솔라 가족으로 맞이함으로써 모바일 게임 개발자에게 접근성이 뛰어난 혁신적 도구를 제공하려는 우리의 노력에 더욱 추진력이 붙게 되었다”며 “확장된 엑솔라 리워드 생태계를 통해 플레이어 참여를 게임 및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전환하는 로열티 및 퀘스트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통합을 통해 개발자는 게임 내 구매, 소셜 참여, 디스코드 채널 가입이나 소셜 네트워크 활동과 같은 커뮤니티 구축 활동에 대해 플레이어에게 보상하는 동적 퀘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며 “이는 재참여도, 충성도, 전환율을 높이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동시에, 개발자가 추가적인 개발 리소스를 투입하거나 부담을 질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루도 공동 창립자 겸 공동 최고경영자인 르네 루소(Renee Russo)는 “플레이어의 충성도는 게임 시작 시점 또는 시작 전에 형성되며, 역동적인 퀘스트 시스템은 그 불꽃을 매일 되살려 자칫 일시적일 수 있는 참여를 지속 가능하고 계속 성장하는 커뮤니티로 바꾼다”고 말했다. 루도 공동 창립자 겸 공동 최고경영자인 애니 리어던(Annie Reardon)은 “결제 시 고급 커뮤니티 퀘스트와 리워드를 추가함으로써 개발자는 커뮤니티를 육성하고 전환율을 높이며 이익률을 보호할 수 있다”며 “엑솔라는 여전히 게임 커머스의 선두에 서 있으며, 우리는 엑솔라와 협력해 풍부한 게임 외적 경험과 꾸준한 플레이어 중심 성장을 결합하여 전 세계 게임의 사용자 확보와 추가 수익 증대 기회를 촉진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엑솔라는 향후 몇 달간 루도 기능을 기반으로 구축된 도구와 통합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여, 구현을 간소화하고 개발자에게 실행 가능한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목표는 모든 규모의 개발자가 게임을 성장시키고, 플레이어의 생애 가치를 증대하며, 활기차고 참여도가 높은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 IT
    2025-05-11
  • 더존비즈온 작년 동기 대비 매출 4.4% 영업이익 19.2% 증가
    더존비즈온(대표이사 김용우)은 1분기 실적 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매출 986억원, 영업이익 216억원을 달성했다고 9일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액은 4.4%, 영업이익은 19.2%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률은 21.9%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에 부응했다. 1분기 실적은 전 사업 영역이 고르게 성장을 이어간 덕분이다. 특히 WEHAGO, Amaranth 10, OmniEsol 등 핵심 솔루션에 통합된 AI 경쟁력을 토대로 사업 안정성과 성장성을 입증했다. 실제로 지난해 6월 출시한 ONE AI가 현재까지 3800개 이상 기업에 도입되며 빠른 속도로 기업용 시장에 안착하고 있다. AI 내재화를 통해 제품 경쟁력이 강화되고, 기존 제품군을 사용하던 고객이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솔루션으로 지속적으로 교체하면서 신제품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 매출 구조에서 클라우드가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며 구축 비용도 줄어들고 있다. 단일 모듈 단위로 제품을 사용하던 고객들도 모든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전체 모듈로 전환하면서 실적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술력과 영업력 기반의 수주 확대가 이어지며 매출이 증대되는 반면 비용은 줄면서 견실한 실적 구조가 갖춰졌다. AI 확대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등으로 향후 실적 전망은 더 밝은 상황이다. AI가 공공, 금융 등 망분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한 프라이빗 AI가 2분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지난해 설립한 일본 법인의 활동이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빅테크 및 현지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성과가 기대된다.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 기회도 찾으면서 글로벌 전략을 더욱 다변화하고 있다. 더존비즈온은 지난달 21일 키르기스스탄을 현지 방문해 도르도이그룹과 디지털전환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도르도이그룹은 무역, 금융(은행), 의료(병원), 교육(대학교), 유통(백화점, 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며 국가 조세의 40%를 차지하는 키르기스스탄 최대 기업집단이다. 자국을 비롯해 중앙아시아 주변국과 연계되는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앙아시아 시장으로 나아가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키르기스스탄 정부와의 협력을 모색하면서 공공, 민간을 아우르는 현지 진출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일정에서 키르기스스탄 국세청 차관급 인사와 만나 기업·개인의 납세자동화에 대해 논의했으며, 디지털개발부(MDD)와 함께 정부 18개 중앙부처의 통합회계시스템 구축 및 AI 활용에 관해서도 협의했다. 또한 제주은행 지분 투자(15%)를 통해 디지털뱅킹 사업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금융·뱅킹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기업이 겪는 자금경색 및 금융서비스 이용 애로와 같은 금융 고민은 물론,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솔루션을 기존 비즈니스 플랫폼 기반으로 제공하면서 본업 경쟁력이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데이터 제공에 따른 수수료 수익까지 더해져 실적 상승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존비즈온은 AI 서비스의 효용을 확인한 기존 고객들이 AI 도입과 함께 클라우드 전환에 나서고 있어 장기적인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며, 내부적으로도 AI를 활용해 핵심 솔루션들의 완성도를 높이고 영업이익률 증가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IT
    2025-05-09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