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ome >  종합 >  교육
-
공업 분야는 경력 교사, 상업분야는 신규 교사 적정성 높아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습 비율이 높아 이론 중심의 전문교과 교원 양성 및 선발 체계에서 실기 역량을 균형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24일 ‘KRIVET Issue Brief 302호(전문교과 교육과정의 이론·실습 비율, 교육과정 위계성, 교직 경력별 담당 교과의 적정성 분석)’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부 자료(2021학년도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육과정 편성 현황)에서 표시과목(건설, 기계, 상업, 수산·해양, 식물자원·조경, 전기, 전자, 조리, 화공)별 교육과정의 이론·실습 비율, 교육과정 위계성, 경력별 적정성 등을 분석한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성취 기준 개발’에 참여하고 표시과목의 전문성을 갖춘 현직 교사(과목별 약 30명)들이 분석에 참여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전문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습 비율이 높았으며, 교육과정 위계성과 경력별 적정성은 표시과목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위계성은 전체 교육과정에서 해당 학습영역의 위계성을 3점 척도(낮음, 중간, 높음)로 조사한 것이다. 교육과정 위계성은 교과 간의 구조를 의미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위계성이 낮을수록 먼저 학습해야 하는 기초 영역에 해당한다. 경력별 적정성은 해당 학습 영역을 신규 교사(대학 양성) 또는 경력 교사(재교육)가 담당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조사한 것이다. 각 전문교과의 실습 비율은 모두 50% 이상으로, 전문교과 교육과정은 이론보다 실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리’ 표시과목의 실습 비율이 82.3%로 가장 높고, ‘수산·해양’ 표시과목은 53.4%로 가장 낮았다. 각 표시과목의 교육과정 위계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자’는 다른 표시과목에 비해 교육과정 위계성의 ‘높음’ 비중이 50.8%로 가장 높은 반면, ‘상업’은 다른 표시과목에 비해 교육과정 위계성의 ‘낮음’ 비중이 50.4%로 가장 높았다. 각 표시과목의 경력별 적정성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건설’, ‘기계’, ‘전기’, ‘전자’, ‘화공’의 공업 분야는 경력 교사 적정성이 높게 나타났고, ‘상업’, ‘수산·해양’, ‘식물자원·조경’, ‘조리’ 분야는 신규 교사 적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표시과목과 관련된 산업의 변화와 기술 고도화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변화가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안재영 선임연구위원과 임해경 전문연구원은 “표시과목별 산업의 변화와 특징 분석을 기반으로 교원 양성·선발·재교육 등에 관한 계획을 점검하고 교육과정 개정 계획에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행 전문교과 교원 양성 및 선발 체계는 실기 역량을 균형 있게 평가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구조적 개편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를 발표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곳이다.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소속 윤영대 박사 플라즈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 수상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이하 APCTP) 소속 윤영대 박사(신진연구그룹 JRG 그룹장)가 2025년 한국물리학회에서 수여하는 ‘플라즈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본 상은 플라즈마물리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연구자에게 수여된다. 윤 박사는 자기화 플라즈마 물리를 중심으로 플라즈마 동역학 이론과 PIC 시뮬레이션 기반 연구를 통해 고에너지 입자의 거동과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심화시켜 왔다. 이를 우주 환경, 핵융합, 반도체 가공, 플라즈마 추력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함으로써, 이론과 응용의 연계를 강화해 왔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우주 전역에 존재하는 자기장의 생성과 소산 과정, 핵융합로에서 고에너지 전자의 제어 방법, 자기장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플라즈마 추진체 설계 등 폭넓은 주제를 선도적으로 다뤄왔다. 또한 국내외 공동연구 및 활발한 학술 교류를 통해 연구 생태계 전반에 기여해 왔다. 윤 박사는 2022년부터 APCTP JRG 그룹장을 맡고 있으며,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물리학과 겸직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최근 8년간 총 24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그중 2편은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또한 미국물리학회 초청 발표도 세 차례 진행하는 등 국제 학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외에도 포스코청암재단 포스코사이언스펠로우십(2022),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학연합회(AAPPS) 플라즈마 분과 신진연구자상(2022) 등 다수의 수상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윤영대 박사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미시적 현상에서부터 거시적 구조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이론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실용적인 응용으로 확장하는 데 더욱 매진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에 대해 APCTP 사사키 소장은“윤 박사의 의미 있는 성과에 깊이 감사한다. 이번 영예가 앞으로의 연구 여정에 더욱 힘이 되기를 바란다”며 “APCTP는 신진연구자의 유치와 연구역량 강화를 중요한 책무로 삼고 있다. 아태 지역 기초과학 발전을 이끄는 국제이론물리기관으로서 지속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축하의 뜻을 전했다. 한편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는 국내 최초이자 한국의 유일한 국제이론물리연구소로 1996년 설립 이후 이론물리학 및 학제 간 첨단 연구, 젊은 과학자 연수, 대중과 커뮤니케이션 활동 등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19개 회원국을 비롯한 그 외 지역 이론물리학자들과 국제 협력 증진을 통해 아태 지역 과학자들의 연구 경쟁력 향상 및 세계적 수준의 차세대 과학 리더 양성에 힘쓰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한국, 호주,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캐나다,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19개국이다.
-
APCTP 소장 사사키 미사오 교수 ISGRG Fellow 선정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이하 APCTP)의 제10대 소장으로 선임된 사사키 미사오 교수가 이론물리에 있어 세계적인 연구 업적을 인정받는 ISGRG(International Society on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일반상대성·중력 국제학회)의 2025년도 Fellow로 선정됐다. ISGRG Fellow는 전 세계적으로 극히 제한된 연구자에게만 수여되는 명예로, 이론물리학 및 중력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의미하며 3년마다 선정한다. 일반상대성이론, 중력이론, 우주론, 블랙홀 등 관련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거두고, 학계의 리더로서 후학 양성, 학문 공동체 기여, 국제적 리더십 등을 두루 갖춘 인물을 선정한다. 고(故) 스티븐 호킹, 킵 손(201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라이너 바이스(201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로저 펜로즈(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교수 등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를 포함한 세계적 석학들이 ISGRG Fellow에 다수 소속돼 있다. ISGRG는 전 세계 중력이론 및 상대성이론 연구자들이 모여 학술 교류와 연구 발전을 도모하는 해당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학회 중 하나다. 중력 연구 분야의 국제 허브 역할을 하고 있으며, 중력과 상대성이론 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영향력 있는 학회인 GR (General Relativity) 학술대회를 3년 주기로 개최하며, 최신 연구 발표와 더불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를 연사로 초청한다. 이외에도 중력이론, 우주론, 수치상대론 등에서 최상위급 국제학술지(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를 발행한다. 사사키 소장은 2008년 훔볼트 연구상, 2010년 다이와 아드리안상, 2024년 이휘소상(이론물리학 부문) 수상 등 뛰어난 수상 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 우주론 연구의 핵심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APCTP는 제10대 소장으로 사사키 교수를 선임한 것을 계기로 국내외 우수 연구 인력 확보와 기초과학 저변 확대에 더욱 힘쓸 계획이다. 한편 APCTP는 1996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APEC) 회의를 계기로 설립된 우리나라가 유치한 국내 유일의 국제이론물리센터다. 현재 아태 지역 19개 회원국 및 35개 협정기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금까지 300여 명의 신진연구자를 유치하고 양성해왔다. 정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과 연구 협력 확대를 이어가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론물리 및 기초과학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학술 교류를 활발히 촉진하고 있다. 또한 대중을 위한 과학 콘텐츠의 성과 확산과 사회 환원을 통해 공익적 가치를 증진하고자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한국, 호주,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캐나다,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이다.
-
서울대 강유 교수팀 특수 상황 속 딥러닝 모델 경량화 기술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컴퓨터공학부 강유 교수팀이 개인정보 보호나 보안 등의 이유로 학습 데이터 사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딥러닝 모델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며 경량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오는 24일부터 닷새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세계적 AI 학술대회 ‘ICLR 2025’에 채택된 바 있다. 올해로 13회를 맞는 ‘ICL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은 기계 학습 및 딥러닝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회다. 프라이버시 보호나 보안 문제로 학습 데이터 접근이 어려운 상황은 현실에서 딥러닝 모델을 훈련시킬 때 겪는 큰 어려움 중 하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제로샷 양자화(Zero-shot Quantization, 이하 ZSQ)’는 훈련 데이터 없이 모델을 양자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기존의 ZSQ 기술들은 합성 데이터의 노이즈, 부정확한 특징에 기반한 예측, 어려운 데이터의 잘못된 하드 레이블(Hard Lavel, 한 가지 정답만 있는 레이블)이 야기하는 오차 발생 등으로 인해 모델 성능 저하를 불러오는 치명적 한계를 보였다. 이에 강 교수팀은 훈련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유지하며 효과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는 ZSQ 기술인 ‘SynQ (Synthesis-aware Fine-tuning for Zero-shot Quantization)’ 기법을 제안했다. 이는 실제 학습 데이터셋이 없는 환경에서도 종전의 ZSQ 기술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진은 SynQ의 세 가지 핵심 기술로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켜 기존 ZSQ의 약점을 극복하는 성과를 거뒀다. 먼저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해 데이터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했다. 그리고 사전 학습된 모델과 양자화된 모델 사이의 클래스 활성화 맵(Class Activation Map, 이하 CAM)을 정렬해 딥러닝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아울러 사전 학습된 모델이 어려운 샘플에 대해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이러한 샘플에는 하드 레이블 대신 소프트 레이블(Soft Rabel, 확률로 표현된 정답)만을 사용함으로써 잘못된 학습을 방지했다. 즉 SynQ는 사전 학습된 모델이 생성한 합성 데이터를 저역 통과 필터로 정제한 뒤, CAM 정렬과 난이도 기반 손실 함수 적용을 통해 양자화된 모델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실제 데이터 없이도 모델 성능을 유지하며 경량화를 달성하는 원리를 지닌다. 향후 SynQ 기법은 고성능의 경량 딥러닝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AI 산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특히 학습 데이터 없이도 모델의 정확도를 유지한 채 압축할 수 있는 SynQ를 활용하면 스마트폰, IoT(사물인터넷) 기기, 자율주행 센서 등 자원이 제한된 엣지 디바이스 환경에서도 고성능 AI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책임자인 강유 교수는 “SynQ 기술은 개인 데이터 유출 없이 모델을 경량화할 수 있는 강점 덕분에 보안 및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나아가 이 기법을 적용하면 그간 대량의 학습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소규모 기업 및 기관도 고성능 AI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 확산 및 대중화가 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한국항공대학교 스페이스 테크놀로지 이승세 회장에게 명예박사 수여
한국항공대학교가 9일 교내 비전홀에서 이승세 인도네시아 SPACE TECHNOLOGY(스페이스 테크놀로지) 회장에게 명예 경영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한국항공대 80학번 동문인 이 회장은 대학 졸업 직후인 1988년 단돈 1만달러만을 가지고 연고가 없는 인도네시아로 건너가 현지에서 자수성가한 성공 신화의 주인공이다. 산업기계부품 판매에서 시작해 LPG용기 생산으로, 다시 발전사업으로 사업영역을 점차 확대해 현재는 인도네시아 국영 전력청(PLN)에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발전사업자(IPP)이자 인도네시아 현지에 발전소를 세우는 건축사업자(EPC)로서 스페이스 테크놀로지와 자회사 MDT, MSR 등을 성공적으로 경영하는 글로벌 기업인이 됐다. 이 회장은 지난해 8월 한국항공대를 방문해 모교에 10억원을 기부할 뜻을 밝혔었다. 한국항공대는 이러한 이 회장의 헌신과 공헌에 대한 감사하는 뜻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기로 했다. 모교 동문이 명예박사 학위를 받는 것은 이 회장이 한국항공대 개교 이래 최초 사례다. 명예박사 학위에는 대학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함께 성장하는 학문 공동체의 일원이 됐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은 이날 명예박사 학위수여식에서 미국의 유명한 방송인이자 ‘기부의 여왕’으로 불리는 오프라 윈프리의 ‘기부란 지갑을 여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여는 것이고, 기부한다는 것은 타인의 삶을 어루만지는 행위’라는 말을 인용해 “이승세 회장이 전달하신 기부금 역시 모교 후배들의 삶을 어루만지며 새로운 희망과 기회를 선사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모교에 보내주신 아낌 없는 사랑은 한국항공대가 글로벌 톱티어(Top-Tier) 항공우주 종합대학으로 도약하는 데 귀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말로 다시 한번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한국항공대는 이번 발전기금을 교내 학생회관 환경개선 사업에 전액 활용하기로 했다. 기존 학생회관을 스터디카페형 공유 공간으로 바꿔 학생들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교류하며 창의·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간에는 ‘이승세 Zone(가칭)’이라는 이름을 붙여 후배들이 오래도록 선배의 나눔 정신을 기억하게 할 예정이다. 한국항공대는 이날 명예박사 학위수여식 이외에도 학생회관 앞에 기념 표지석을 세우고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기념식수 행사와 이 회장이 발전기금과 같이 기부한 목련나무 100여 그루가 심긴 ‘이승세 목련길’을 다 함께 걸어보는 캠퍼스 투어 행사를 진행했다. 모든 행사에는 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 황수찬 대학원장, 이동명 항공·경영대학장 등 교직원과 신대현 총동문회장, 박종래 CEO동문회장 및 CEO회장단, 은퇴 교직원 등이 참석해 이 회장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한편 1952년 개교한 한국항공대학교(KOREA AEROSPACE UNIVERSITY)는 대한민국 유일의 항공우주 종합대학이다. 항공기와 인공위성의 제작과 설계, 정비(MRO),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등의 공학부터 운항, 항공교통관제, 물류, 경영학에 이르기까지 항공우주 전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강소(强小) 대학이다.
-
서울대와 우리금융그룹, 금융 및 기술 융합 공동 연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하 서울공대)은 금융과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미래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우리금융그룹과 지난 3일 산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기술 기반 스타트업 발굴 및 성장 지원 △디지털·IT 맞춤형 전문 교육 프로그램 운영 △금융-기술 융합 공동 연구를 함께 추진한다. 금융산업과 첨단 기술 간 시너지를 극대화해 금융·기술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서울대 공학교육혁신센터는 IT 기술과 금융을 접목한 기술 연구를 위한 협력기반을 다지고, 실무형 인공지능(AI)·빅데이터 전문가를 양성하는 맞춤형 심화 교육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공대의 산학협력전문기관인 SNU공학컨설팅센터는 우리금융그룹의 스타트업 협력 프로그램 ‘디노랩(DinnoLab)’과 연계해 기술 중심 스타트업의 성장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공대 김영오 학장은 “이번 협약은 기술과 금융이 결합된 미래 신사업을 발굴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면서 “앞으로 우리금융그룹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모범적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리금융그룹 옥일진 부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기술 기반 금융 혁신을 가속화하고, 스타트업 및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며 “서울공대와의 협력을 통해 금융업의 미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공업 분야는 경력 교사, 상업분야는 신규 교사 적정성 높아
-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습 비율이 높아 이론 중심의 전문교과 교원 양성 및 선발 체계에서 실기 역량을 균형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24일 ‘KRIVET Issue Brief 302호(전문교과 교육과정의 이론·실습 비율, 교육과정 위계성, 교직 경력별 담당 교과의 적정성 분석)’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부 자료(2021학년도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육과정 편성 현황)에서 표시과목(건설, 기계, 상업, 수산·해양, 식물자원·조경, 전기, 전자, 조리, 화공)별 교육과정의 이론·실습 비율, 교육과정 위계성, 경력별 적정성 등을 분석한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성취 기준 개발’에 참여하고 표시과목의 전문성을 갖춘 현직 교사(과목별 약 30명)들이 분석에 참여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전문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습 비율이 높았으며, 교육과정 위계성과 경력별 적정성은 표시과목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위계성은 전체 교육과정에서 해당 학습영역의 위계성을 3점 척도(낮음, 중간, 높음)로 조사한 것이다. 교육과정 위계성은 교과 간의 구조를 의미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위계성이 낮을수록 먼저 학습해야 하는 기초 영역에 해당한다. 경력별 적정성은 해당 학습 영역을 신규 교사(대학 양성) 또는 경력 교사(재교육)가 담당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조사한 것이다. 각 전문교과의 실습 비율은 모두 50% 이상으로, 전문교과 교육과정은 이론보다 실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리’ 표시과목의 실습 비율이 82.3%로 가장 높고, ‘수산·해양’ 표시과목은 53.4%로 가장 낮았다. 각 표시과목의 교육과정 위계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자’는 다른 표시과목에 비해 교육과정 위계성의 ‘높음’ 비중이 50.8%로 가장 높은 반면, ‘상업’은 다른 표시과목에 비해 교육과정 위계성의 ‘낮음’ 비중이 50.4%로 가장 높았다. 각 표시과목의 경력별 적정성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건설’, ‘기계’, ‘전기’, ‘전자’, ‘화공’의 공업 분야는 경력 교사 적정성이 높게 나타났고, ‘상업’, ‘수산·해양’, ‘식물자원·조경’, ‘조리’ 분야는 신규 교사 적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표시과목과 관련된 산업의 변화와 기술 고도화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변화가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안재영 선임연구위원과 임해경 전문연구원은 “표시과목별 산업의 변화와 특징 분석을 기반으로 교원 양성·선발·재교육 등에 관한 계획을 점검하고 교육과정 개정 계획에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행 전문교과 교원 양성 및 선발 체계는 실기 역량을 균형 있게 평가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구조적 개편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를 발표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곳이다.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 종합
- 교육
-
공업 분야는 경력 교사, 상업분야는 신규 교사 적정성 높아
-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소속 윤영대 박사 플라즈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 수상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이하 APCTP) 소속 윤영대 박사(신진연구그룹 JRG 그룹장)가 2025년 한국물리학회에서 수여하는 ‘플라즈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본 상은 플라즈마물리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연구자에게 수여된다. 윤 박사는 자기화 플라즈마 물리를 중심으로 플라즈마 동역학 이론과 PIC 시뮬레이션 기반 연구를 통해 고에너지 입자의 거동과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심화시켜 왔다. 이를 우주 환경, 핵융합, 반도체 가공, 플라즈마 추력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함으로써, 이론과 응용의 연계를 강화해 왔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우주 전역에 존재하는 자기장의 생성과 소산 과정, 핵융합로에서 고에너지 전자의 제어 방법, 자기장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플라즈마 추진체 설계 등 폭넓은 주제를 선도적으로 다뤄왔다. 또한 국내외 공동연구 및 활발한 학술 교류를 통해 연구 생태계 전반에 기여해 왔다. 윤 박사는 2022년부터 APCTP JRG 그룹장을 맡고 있으며,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물리학과 겸직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최근 8년간 총 24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그중 2편은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또한 미국물리학회 초청 발표도 세 차례 진행하는 등 국제 학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외에도 포스코청암재단 포스코사이언스펠로우십(2022),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학연합회(AAPPS) 플라즈마 분과 신진연구자상(2022) 등 다수의 수상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윤영대 박사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미시적 현상에서부터 거시적 구조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이론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실용적인 응용으로 확장하는 데 더욱 매진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에 대해 APCTP 사사키 소장은“윤 박사의 의미 있는 성과에 깊이 감사한다. 이번 영예가 앞으로의 연구 여정에 더욱 힘이 되기를 바란다”며 “APCTP는 신진연구자의 유치와 연구역량 강화를 중요한 책무로 삼고 있다. 아태 지역 기초과학 발전을 이끄는 국제이론물리기관으로서 지속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축하의 뜻을 전했다. 한편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는 국내 최초이자 한국의 유일한 국제이론물리연구소로 1996년 설립 이후 이론물리학 및 학제 간 첨단 연구, 젊은 과학자 연수, 대중과 커뮤니케이션 활동 등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19개 회원국을 비롯한 그 외 지역 이론물리학자들과 국제 협력 증진을 통해 아태 지역 과학자들의 연구 경쟁력 향상 및 세계적 수준의 차세대 과학 리더 양성에 힘쓰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한국, 호주,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캐나다,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19개국이다.
-
- 종합
- 교육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소속 윤영대 박사 플라즈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 수상
-
-
APCTP 소장 사사키 미사오 교수 ISGRG Fellow 선정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이하 APCTP)의 제10대 소장으로 선임된 사사키 미사오 교수가 이론물리에 있어 세계적인 연구 업적을 인정받는 ISGRG(International Society on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일반상대성·중력 국제학회)의 2025년도 Fellow로 선정됐다. ISGRG Fellow는 전 세계적으로 극히 제한된 연구자에게만 수여되는 명예로, 이론물리학 및 중력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의미하며 3년마다 선정한다. 일반상대성이론, 중력이론, 우주론, 블랙홀 등 관련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거두고, 학계의 리더로서 후학 양성, 학문 공동체 기여, 국제적 리더십 등을 두루 갖춘 인물을 선정한다. 고(故) 스티븐 호킹, 킵 손(201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라이너 바이스(201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로저 펜로즈(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교수 등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를 포함한 세계적 석학들이 ISGRG Fellow에 다수 소속돼 있다. ISGRG는 전 세계 중력이론 및 상대성이론 연구자들이 모여 학술 교류와 연구 발전을 도모하는 해당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학회 중 하나다. 중력 연구 분야의 국제 허브 역할을 하고 있으며, 중력과 상대성이론 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영향력 있는 학회인 GR (General Relativity) 학술대회를 3년 주기로 개최하며, 최신 연구 발표와 더불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를 연사로 초청한다. 이외에도 중력이론, 우주론, 수치상대론 등에서 최상위급 국제학술지(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를 발행한다. 사사키 소장은 2008년 훔볼트 연구상, 2010년 다이와 아드리안상, 2024년 이휘소상(이론물리학 부문) 수상 등 뛰어난 수상 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 우주론 연구의 핵심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APCTP는 제10대 소장으로 사사키 교수를 선임한 것을 계기로 국내외 우수 연구 인력 확보와 기초과학 저변 확대에 더욱 힘쓸 계획이다. 한편 APCTP는 1996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APEC) 회의를 계기로 설립된 우리나라가 유치한 국내 유일의 국제이론물리센터다. 현재 아태 지역 19개 회원국 및 35개 협정기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금까지 300여 명의 신진연구자를 유치하고 양성해왔다. 정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과 연구 협력 확대를 이어가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론물리 및 기초과학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학술 교류를 활발히 촉진하고 있다. 또한 대중을 위한 과학 콘텐츠의 성과 확산과 사회 환원을 통해 공익적 가치를 증진하고자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한국, 호주,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캐나다,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이다.
-
- 종합
- 교육
-
APCTP 소장 사사키 미사오 교수 ISGRG Fellow 선정
-
-
서울대 강유 교수팀 특수 상황 속 딥러닝 모델 경량화 기술 개발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컴퓨터공학부 강유 교수팀이 개인정보 보호나 보안 등의 이유로 학습 데이터 사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딥러닝 모델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며 경량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오는 24일부터 닷새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세계적 AI 학술대회 ‘ICLR 2025’에 채택된 바 있다. 올해로 13회를 맞는 ‘ICL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은 기계 학습 및 딥러닝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회다. 프라이버시 보호나 보안 문제로 학습 데이터 접근이 어려운 상황은 현실에서 딥러닝 모델을 훈련시킬 때 겪는 큰 어려움 중 하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제로샷 양자화(Zero-shot Quantization, 이하 ZSQ)’는 훈련 데이터 없이 모델을 양자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기존의 ZSQ 기술들은 합성 데이터의 노이즈, 부정확한 특징에 기반한 예측, 어려운 데이터의 잘못된 하드 레이블(Hard Lavel, 한 가지 정답만 있는 레이블)이 야기하는 오차 발생 등으로 인해 모델 성능 저하를 불러오는 치명적 한계를 보였다. 이에 강 교수팀은 훈련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유지하며 효과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는 ZSQ 기술인 ‘SynQ (Synthesis-aware Fine-tuning for Zero-shot Quantization)’ 기법을 제안했다. 이는 실제 학습 데이터셋이 없는 환경에서도 종전의 ZSQ 기술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진은 SynQ의 세 가지 핵심 기술로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켜 기존 ZSQ의 약점을 극복하는 성과를 거뒀다. 먼저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해 데이터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했다. 그리고 사전 학습된 모델과 양자화된 모델 사이의 클래스 활성화 맵(Class Activation Map, 이하 CAM)을 정렬해 딥러닝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아울러 사전 학습된 모델이 어려운 샘플에 대해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이러한 샘플에는 하드 레이블 대신 소프트 레이블(Soft Rabel, 확률로 표현된 정답)만을 사용함으로써 잘못된 학습을 방지했다. 즉 SynQ는 사전 학습된 모델이 생성한 합성 데이터를 저역 통과 필터로 정제한 뒤, CAM 정렬과 난이도 기반 손실 함수 적용을 통해 양자화된 모델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실제 데이터 없이도 모델 성능을 유지하며 경량화를 달성하는 원리를 지닌다. 향후 SynQ 기법은 고성능의 경량 딥러닝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AI 산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특히 학습 데이터 없이도 모델의 정확도를 유지한 채 압축할 수 있는 SynQ를 활용하면 스마트폰, IoT(사물인터넷) 기기, 자율주행 센서 등 자원이 제한된 엣지 디바이스 환경에서도 고성능 AI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책임자인 강유 교수는 “SynQ 기술은 개인 데이터 유출 없이 모델을 경량화할 수 있는 강점 덕분에 보안 및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나아가 이 기법을 적용하면 그간 대량의 학습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소규모 기업 및 기관도 고성능 AI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 확산 및 대중화가 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종합
- 교육
-
서울대 강유 교수팀 특수 상황 속 딥러닝 모델 경량화 기술 개발
-
-
한국항공대학교 스페이스 테크놀로지 이승세 회장에게 명예박사 수여
- 한국항공대학교가 9일 교내 비전홀에서 이승세 인도네시아 SPACE TECHNOLOGY(스페이스 테크놀로지) 회장에게 명예 경영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한국항공대 80학번 동문인 이 회장은 대학 졸업 직후인 1988년 단돈 1만달러만을 가지고 연고가 없는 인도네시아로 건너가 현지에서 자수성가한 성공 신화의 주인공이다. 산업기계부품 판매에서 시작해 LPG용기 생산으로, 다시 발전사업으로 사업영역을 점차 확대해 현재는 인도네시아 국영 전력청(PLN)에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발전사업자(IPP)이자 인도네시아 현지에 발전소를 세우는 건축사업자(EPC)로서 스페이스 테크놀로지와 자회사 MDT, MSR 등을 성공적으로 경영하는 글로벌 기업인이 됐다. 이 회장은 지난해 8월 한국항공대를 방문해 모교에 10억원을 기부할 뜻을 밝혔었다. 한국항공대는 이러한 이 회장의 헌신과 공헌에 대한 감사하는 뜻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기로 했다. 모교 동문이 명예박사 학위를 받는 것은 이 회장이 한국항공대 개교 이래 최초 사례다. 명예박사 학위에는 대학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함께 성장하는 학문 공동체의 일원이 됐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은 이날 명예박사 학위수여식에서 미국의 유명한 방송인이자 ‘기부의 여왕’으로 불리는 오프라 윈프리의 ‘기부란 지갑을 여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여는 것이고, 기부한다는 것은 타인의 삶을 어루만지는 행위’라는 말을 인용해 “이승세 회장이 전달하신 기부금 역시 모교 후배들의 삶을 어루만지며 새로운 희망과 기회를 선사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모교에 보내주신 아낌 없는 사랑은 한국항공대가 글로벌 톱티어(Top-Tier) 항공우주 종합대학으로 도약하는 데 귀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말로 다시 한번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한국항공대는 이번 발전기금을 교내 학생회관 환경개선 사업에 전액 활용하기로 했다. 기존 학생회관을 스터디카페형 공유 공간으로 바꿔 학생들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교류하며 창의·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간에는 ‘이승세 Zone(가칭)’이라는 이름을 붙여 후배들이 오래도록 선배의 나눔 정신을 기억하게 할 예정이다. 한국항공대는 이날 명예박사 학위수여식 이외에도 학생회관 앞에 기념 표지석을 세우고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기념식수 행사와 이 회장이 발전기금과 같이 기부한 목련나무 100여 그루가 심긴 ‘이승세 목련길’을 다 함께 걸어보는 캠퍼스 투어 행사를 진행했다. 모든 행사에는 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 황수찬 대학원장, 이동명 항공·경영대학장 등 교직원과 신대현 총동문회장, 박종래 CEO동문회장 및 CEO회장단, 은퇴 교직원 등이 참석해 이 회장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한편 1952년 개교한 한국항공대학교(KOREA AEROSPACE UNIVERSITY)는 대한민국 유일의 항공우주 종합대학이다. 항공기와 인공위성의 제작과 설계, 정비(MRO),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등의 공학부터 운항, 항공교통관제, 물류, 경영학에 이르기까지 항공우주 전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강소(强小) 대학이다.
-
- 종합
- 교육
-
한국항공대학교 스페이스 테크놀로지 이승세 회장에게 명예박사 수여
-
-
서울대와 우리금융그룹, 금융 및 기술 융합 공동 연구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하 서울공대)은 금융과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미래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우리금융그룹과 지난 3일 산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기술 기반 스타트업 발굴 및 성장 지원 △디지털·IT 맞춤형 전문 교육 프로그램 운영 △금융-기술 융합 공동 연구를 함께 추진한다. 금융산업과 첨단 기술 간 시너지를 극대화해 금융·기술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서울대 공학교육혁신센터는 IT 기술과 금융을 접목한 기술 연구를 위한 협력기반을 다지고, 실무형 인공지능(AI)·빅데이터 전문가를 양성하는 맞춤형 심화 교육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공대의 산학협력전문기관인 SNU공학컨설팅센터는 우리금융그룹의 스타트업 협력 프로그램 ‘디노랩(DinnoLab)’과 연계해 기술 중심 스타트업의 성장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공대 김영오 학장은 “이번 협약은 기술과 금융이 결합된 미래 신사업을 발굴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면서 “앞으로 우리금융그룹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모범적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리금융그룹 옥일진 부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기술 기반 금융 혁신을 가속화하고, 스타트업 및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며 “서울공대와의 협력을 통해 금융업의 미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종합
- 교육
-
서울대와 우리금융그룹, 금융 및 기술 융합 공동 연구
실시간 교육 기사
-
-
사이버한국외대, 실라빠껀대학교 비롯해 태국 주요 5개 대학과 MOU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장지호)는 최근 태국 실라빠껀대학교(Silpakorn University), 탐마삿대학교(Thammasat University)와 각각 MOU 체결을 완료했다고 밝혔다.사이버한국외대 진정란 글로벌교육원장과 이민우 교육혁신처장은 8월 17일부터 20일까지 태국 방콕을 방문해 실라빠껀대학교, 탐마삿대학교와 MOU를 체결했다. 이로써 사이버한국외대는 나레수언대학교(Naresuan University), 랑싯대학교(Rangsit University), 우따라딧라차팟대학교(Uttaradit Rajabhat University) 등을 포함해 태국 내 총 5개의 주요 대학과 협력을 체결하게 됐다.이번에 협약을 체결한 실라빠껀대학교는 그간 세 차례에 걸쳐 사이버한국외대를 방문해 온라인을 통한 학점 교류와 한국 방문 연수 등을 추진해온 바 있다. 탐마삿대학교 역시 한국어 과정의 전공 격상에 맞춰 학생들의 수업 선택권을 확대하고, 온라인 학습을 통한 교육 과정의 정비를 꾀하기 위해 사이버한국외대와 교류 협력을 진행해왔다. 각 대학은 MOU 체결을 계기로 사이버한국외대와 내년부터 마이크로 디그리(Micro Degree), 3+1 제도 등의 공동 학위 과정, 단기 한국 방문 연수 등의 다양한 학술 교류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이와 관련해 진정란 글로벌교육원장은 “그동안 비대면으로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해 온 기관들과의 직접 접촉 재개를 통해 더 적극적인 학술 상생을 도모할 계획”이라며 “이번 MOU 체결교 외에도 태국 마히돌대학교(Mahidol University) 등 해외 대학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국내 사이버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외국인 학습자를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한국외대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등의 다양한 외국어 전공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전공을 운영하며 전 세계 35개 대학과 협력 관계를 맺고 학술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 또 2021년부터 현재까지 KF 글로벌 e-스쿨 사업에 운영대학으로 참여하면서 해외 여러 대학에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국외 한국학 진흥에도 기여하고 있다.
-
- 종합
- 교육
-
사이버한국외대, 실라빠껀대학교 비롯해 태국 주요 5개 대학과 MOU
-
-
서울대 강승균 교수팀, 자외선 감응형 소재 이용 완전 분해 가능한 소프트 로봇 시스템 개발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팀(오민하 박사과정, 김영환 박사과정, 이승민 박사과정, 지도교수 강승균)이 서강대학교 김상엽 교수, UNIST 김주영 교수, KIST 김유찬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자외선 감응형 소재를 이용해 완전 분해가 가능한 소프트 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해당 소프트 로봇은 탑재된 전자소를 통해 정찰 등의 군사 작전 수행과 더불어, 적에게 노출되는 상황에서 내장된 자외선 LED와 히터를 통해 분해돼 스스로 사라질 수 있어 차세대 보안용 정찰 로봇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존 소프트 로봇을 구성하는 실리콘 기반 탄성 복합체의 경우 가교 구조의 화학 결합을 바탕으로 탄성이 뛰어나고 합성 프로세스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이로 인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강해 소재 분해에 많은 열에너지나 혹은 극단적인 pH 조건이 필수적이었다.이에 실리콘 기반의 소프트 로봇의 분해를 위해서는 로봇에 강한 열에너지를 내는 시스템 혹은 극단적 pH 조건의 물질 탑재라는 어려운 과제가 남아있었다.이번에 개발된 자외선 감응형 소재는 실리콘 탄성 복합체에 광 감응형 플루오린 발생제를 첨가한 재료 시스템이다. 기존 실리콘 탄성 복합체의 뛰어난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면서 강한 자외선을 통해 가교 고분자를 쉽고 빠르게 분해할 수 있도록 설계해 기존 실리콘 기반 탄성 복합체의 복잡하고 위험한 분해 반응에 대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했다.또한 개발 소재를 소프트 로봇에 적용해 분해를 쉽게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열었다.광 감응형 플루오린 발생제를 첨가한 실리콘 탄성 복합체 기반 자외선 감응형 소재는 복구할 수 없는 분해 가능 소재로써 기존 실리콘과 같은 간단한 합성 프로세스 및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가졌으며, 가교 구조의 고분자를 쉽고 빠르게 분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재 시스템이다. 해당 재료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 로봇을 제작하고 주위 환경을 정찰할 수 있는 초박형 전자소자를 제작 및 탑재해 자외선, 온도, 로봇의 움직임까지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로봇 시스템을 구현했다.또한 소형 전지, 자외선 LED와 히터가 내장된 폐쇄회로를 소프트 로봇 내부에 구성해 적에게 포획됐을 때 촉각 센서에 의해 분해가 시작돼 로봇 몸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자외선 감응형 소재를 스스로 사라질 수 있게 개발했다.연구팀은 개발된 재료 및 소프트 로봇 시스템 기술이 미래에 군사 작전 및 회수가 어려운 지역의 탐사 로봇 등에 투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며, 사용자 안전을 위한 해당 소재의 생체 적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 또한 진행될 예정이다.
-
- 종합
- 교육
-
서울대 강승균 교수팀, 자외선 감응형 소재 이용 완전 분해 가능한 소프트 로봇 시스템 개발
-
-
한국 딜로이트, 연세대 상남경영원과 CSO 혁신 프로그램 개설
- 한국 딜로이트 그룹(총괄대표 홍종성)은 연세대학교 상남경영원과 공동으로 기업뿐 아니라 공공기관의 ESG 혁신경영을 지원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최고책임자를 위한 혁신 프로그램(Chief Sustainability Officer Innovation Program, 이하 딜로이트-연세대 CSO 혁신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8월 1기 수강생 모집을 통해 10월 첫 과정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6월 26일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글로벌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최종안을 발표하면서 투자 업계의 환경·사회적 책임·지배구조(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이하 ESG)의 비재무 지표 평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글로벌 제도 변화에 따라 경제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근본적이고 대대적인 ESG 전환이 예상되며, 기업이나 공공부문의 경영을 이끌어 가는 리더들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해 지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대의의 목표를 달성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기업의 성과를 이끌어내야 하는 비즈니스 리더들에게는 이제 단순히 ESG 법규를 준수하는 형태의 ‘ESG 경영’을 넘어 ‘ESG 혁신경영’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ESG 혁신경영’이란 ESG에 대한 새로운 요구들이 등장해 경영환경이 변해가는 상황에서 조직 경영의 필수적인 요소들을 본질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ESG 전환에 직면한 조직의 리더들은 조직의 중장기적 비전과 목표 수립은 물론, 사업 포트폴리오와 재무구조 변경과 같은 중대한 사안에 대해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인사이트와 리더십 스킬 훈련에 대한 수요가 증가 추세다.‘딜로이트-연세대 CSO 혁신 프로그램’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 ‘ESG 혁신경영’과 리더십 배양을 위한 국내 최초 최고위 교육과정으로 기업의 경영진 및 이사회, 정부 고위공직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특히 기존 이론 중심의 ESG 교육과정과 차별화를 위해 딜로이트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보유한 풍부한 자문 경험을 기반으로 한 ESG 혁신경영 관련 통찰력과 함께 다양한 기업, 업계 대상 컨설팅 사례를 제공해 차별화된 교육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딜로이트-연세대 CSO 혁신 프로그램’ 강연진은 한국 딜로이트 그룹의 ESG 전문가 및 연세대 교수진, 외부 특별 초빙 강사진으로 구성된다. 무엇보다 딜로이트 이스라엘이 제공하는 맞춤형 리더십 교육과정인 ‘카탈리스트(Catalyst) 프로그램’과 협력해 수강생 대표단 전원에게 혁신 생태계의 대표 강국 이스라엘의 ESG 혁신경영의 최신 사례를 제공할 예정이다.혁신 생태계의 해외시장 진출과 국제 투자유치를 중시하는 이스라엘은 ESG 혁신경영을 위한 여러 정부 차원의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런 노력에 맞춰 카탈리스트 프로그램은 각 국가 및 산업의 리더들에게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제공해왔다. 한국 수강생들을 위한 ‘카탈리스트 프로그램’ 구성 역시 수강생들이 소속된 산업 분야에 맞춰 혁신경영에 필요한 사고방식과 결단력을 키워주는 워크숍 그리고 실제 ESG 혁신경영을 이끄는 스타트업과 생태계 파트너들과 함께하는 현장 케이스 스터디로 진행될 예정이다.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중국 경영진들이 많이 참가해 왔었지만, 한국 경영진을 대상으로 맞춤형 카탈리스트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은 처음이다.또한 카탈리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이스라엘 국부펀드 요즈마 그룹과의 면담 등 현지 다국적 기업들 방문 기회도 제공될 예정이다. 이스라엘 벤처캐피털 산업을 창조하고 글로벌 기업에 투자해온 요즈마 그룹 역시 ESG를 주요 투자 테마의 하나로 선정해 이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한 기업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ESG 투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요즈마 그룹과의 면담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ESG 경영 평가 및 투자 동향을 이해하고 한국 기업의 글로벌 시장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등 외부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깊이 있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이 마련될 계획이다.교육과정을 총괄하고 있는 백인규 한국 딜로이트 그룹 ESG 센터장은 “글로벌 ESG 대표 자문사인 딜로이트와 다수의 리더십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연세대가 ESG 혁신경영을 이끌어갈 미래 리더 양성에 초점을 맞춰 심혈을 기울여 기획한 최고위 리더십 교육과정인 만큼 참여 수강생 모두가 ESG 관련 전문성 함양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으로 ESG 혁신경영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탄탄한 기반을 다지는 유의미한 시간이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 및 기관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CSO 혁신 프로그램은 2023년 8월 한 달간 수강생을 모집해 10월 10일 개강 후 총 10주간 진행된다. 교육 일정 및 커리큘럼, 강사진 등 프로그램 상세 내용 및 교육과정 등록 안내는 연세대 상남경영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
- 종합
- 교육
-
한국 딜로이트, 연세대 상남경영원과 CSO 혁신 프로그램 개설
-
-
서울대 공대 박민혁 교수 ‘젊은 강유전체 연구자상’ 수상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가 지난달 26일 미국 클리브랜드에서 개최한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Applications of Ferroelectrics(ISAF) 학회에서 Ferroelectrics Young Investigator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Ferroelectrics Young Investigator Award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전문가 모임인 미국 전기전자학회 IEEE의 만 40세 이하의 젊은 강유전체 연구자 중 해당 분야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와 공헌을 하며 세계적으로 연구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과학자 1명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박민혁 교수는 산화하프늄 강유전체의 기본 메커니즘 규명 및 관련된 다양한 새로운 응용을 제시한 기여를 인정받아 수상했다.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계(전기장)를 가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두 가지 이상의 전기적 분극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 이진법 기반의 비휘발성 반도체, 초저전력 반도체,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고체상태냉각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유망한 소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반도체 미래기술 로드맵에서도 차세대 반도체용 유망 신소재로 포함된 소재이다.박 교수는 최근 차세대 반도체 및 에너지 소자 용 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강유전체에 대한 선도적 연구를 2008년부터 15년 이상 진행해왔다.박 교수는 강유전체 재료와 관련된 연구로 ‘Nature Reviews Materials’, ‘Advanced Materials’ 등 유수 국제 저널에 1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 왔으며, 독일 드레스덴 공대의 연구소인 나노전자재료연구소(Nanoelectronic Materials Laboratory)에서 박사후 연구원(Postdoctoral Fellow)으로 근무했고,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를 거쳐 2021년 9월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종합
- 교육
-
서울대 공대 박민혁 교수 ‘젊은 강유전체 연구자상’ 수상
-
-
동남아시아 15개 국가 주재 영국문화원, IELTS Prize 장학금 지원서 접수 시작
- 동남아시아 지역 15개 국가에 주재한 영국문화원이 합동으로 진행하는 2023년도 IELTS Prize 장학금의 지원서 접수가 시작됐다. 2023년 1월부터 2024년 3월 사이 국내외에서 학부 혹은 대학원 학위 과정을 시작하고, 입학 요건으로 IELTS 점수를 인정하는 고등교육 기관에 진학할 예정인 IELTS 응시자들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이번 선발에서는 국내 장학생을 위한 총 1200만원 상당의 장학금이 준비됐으며, 총 3명에게 차등 수여한다. 지원 마감일은 9월 15일이며, 지원하려면 IELTS Prize 장학금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지원서와 함께 최소 점수 요건을 만족하는 영국문화원 주관의 IELTS 시험 성적표를 제출해야 한다.영국문화원은 2011년 IELTS Prize 장학금 프로그램을 도입한 뒤 현재까지 360여 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들은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의 영미권 국가들 뿐만 아니라 네덜란드, 프랑스, 싱가포르에 이르기까지 세계 곳곳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서 학업을 마쳤거나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학, 우주 항공 공학, 질병 역학, 간호학, 경영학, 생명공학, 교육학 등 전공도 다양하다.동남아시아 지역 시험부서 총괄 이사인 헤더 포브스는 “IELTS Prize 장학생은 학업을 통해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이 속한 지역 커뮤니티에 변화를 만들 역량이 있는 사람을 선발한다. 국제 연구와 협력을 통해 평화와 번영을 목표로 하는 열정적이고 똑똑한 학생들의 꿈을 향한 여정에 이바지할 수 있어 뿌듯하다”며 많은 학생이 이번 장학생 모집에 지원하기를 독려했다.장학생 지원 조건, 지원 절차 및 자주 묻는 질문에 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IELTS Prize 장학금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된다. 한편 장학금이 지원되는 동남아 15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홍콩(마카오 포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중국, 일본,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네팔, 스리랑카.
-
- 종합
- 교육
-
동남아시아 15개 국가 주재 영국문화원, IELTS Prize 장학금 지원서 접수 시작
-
-
한국교육개발원과 국민의힘 이태규 의원실 ‘한국 교육 미래 전략 포럼’ 개최
- 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 류방란)과 국민의힘 이태규 의원실이 공동 주최하고,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하는 ‘한국 교육 미래 전략 포럼: 창의와 다양성 교육을 중심으로’가 7월 7일(금) 오후 2시부터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된다.포럼에서 최진석 서강대 명예 교수는 ‘시대 변화와 교육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특별 강연에서는 미래 교육의 가치와 방향성에 대한 고찰이 이뤄진다.특별 강연 후에는 2개의 주제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김희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가 ‘미래사회 전망과 요구되는 미래 인재 역량’을 주제로 사회·경제·기술 등의 측면에서 미래사회를 전망하고, 우리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하는 미래 인재 역량과 인재상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정미경 한국교육개발원 초·중등교육연구본부장이 ‘한국 교육 진단과 미래 교육 전략’을 주제로 한국 교육의 강점과 약점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창의인재 양성으로 나아가기 위해 약점을 보완하고 걸림돌을 넘어서는데 지렛대가 될 만한 미래 교육 전략을 제안한다.마지막으로 지정토론(좌장 황규호 이화여대 교수)에서는 배순민 KT상무·소장, 이정백 거꾸로캠퍼스 대표, 손민호 인하대 교수, 신문규 교육부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여해 주제 발표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
- 종합
- 교육
-
한국교육개발원과 국민의힘 이태규 의원실 ‘한국 교육 미래 전략 포럼’ 개최
-
-
국내 입시제도 한계 극복하고 미국대학 갈 수 있는 효과적 방법은?
- SDC인터내셔널스쿨학원(이사장 서대천)이 오는 15일 오후 2시 서울 사당동 총신대학교 신관 5층 콘서트홀에서 가을 시즌 9월 신입생 모집을 위한 입학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 대상자는 초·중·고등학교 연령대의 자녀의 둔 학부모나 일가 친척 및 지인 모두 가능하고 특히 국내 입시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싶은 사람들이면 만족도가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대학 입시 준비생이 90%에 달하는 SDC학원의 주요 수강과목은 △토플 △SAT △ACT △AP 등이며 종일반 체제로 운영된다. SDC인터내셔널스쿨학원 출신 2023년 가을학기 미국 대학 합격생의 경우 많게는 25만달러(한화 약3억2500만원)까지 장학금을 받고 진학했고 평균 10~20만달러(1억3000만원~2억6000만원) 장학금을 받고 미국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 문의 : 02-594-1005>
-
- 종합
- 교육
-
국내 입시제도 한계 극복하고 미국대학 갈 수 있는 효과적 방법은?
-
-
건국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모빌리티인문학 국내 학술대회 개최
-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원장 신인섭)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은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와 함께 ‘지구종말시대 탈지구적 상상력’을 주제로 모빌리티인문학 국내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철학·문학·미술사 분야의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시대의 화두인 4차 산업 혁명과 시공간의 모빌리티에 대해 고찰했다.1부는 ‘탈지구적 시공간과 포스트휴먼 조건’을 주제로 이화여대 신상규 교수와 뉴욕 메리스트대(NY Marist College) 유상근 교수가 발표했다. 신 교수는 루치아노 플로리디(Luciano Floridi)의 정보 철학을 기반으로, 급속한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환경 변화가 가져온 인식론적 전환을 다뤘다. 유 교수는 영미권 SF의 역사 속 모빌리티 개념의 변용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아우르며 한국 SF만의 독특한 시공간에서 모빌리티의 특징을 논했다.2부 ‘탈지구적 상상력과 예술’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 복도훈 교수가 2020년대 한국 리얼리즘 소설인 김영하의 ‘작별인사’와 최이수의 ‘두 번째의 달’에 담긴 멸종 담론과 그 시사점을 다뤘다. 또 국민대 김희영 교수는 4차 산업 혁명 모빌리티의 층위에서 비디오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의 ‘정주하는 유목민’ 개념의 의미와 미술사적 계보를 밝혔다.신인섭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철학·문학·미술, 특히 동시대의 김영하의 소설과 백남준의 미술 작품을 통해 4차 산업 혁명의 첨단 과학기술이 현 인류에게 가져온 모빌리티의 확장의 의미를 검토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은 국내 학술대회를 개최하며 모빌리티인문학의 영역에서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종합
- 교육
-
건국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모빌리티인문학 국내 학술대회 개최
-
-
지놈앤컴퍼니 박한수 대표, 항암 효과 면역 조절제 발견 논문 ‘Advanced Science’ 게재
- 지놈앤컴퍼니는 박한수 대표가 항암 효과가 있는 면역 조절 단백질의 기전 규명에 대한 연구 성과가 ‘Advanced Science’(IF 17.521)에 게재됐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박한수 대표와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 연구팀, 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이 미래창조과학부와 보건복지부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박 대표는 기존 면역항암제가 가진 낮은 반응률이라는 한계점 극복을 위해 신규 타깃 물질 발굴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이번 연구를 통해 항암 효과를 가진 면역 조절제인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을 발견했으며 이 단백질이 암 특이 T세포를 활성화한다는 기전을 규명해 주목받고 있다.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의 폐암 환자 생존 그래프를 ‘ICAM-1’ 발현량에 따라 분석해 발현이 높은 환자군에서 높은 생존율을 확인했고 면역 조절제 ‘ICAM-1’이 항암 효과와 연관돼 있다는 기전을 밝히고 입증했다.박한수 지놈앤컴퍼니 대표는 “이번 연구는 폐암 환자의 생존 그래프를 분석하여 항암 면역 조절제 ICAM-1을 발굴했고 더 나아가 sICAM-1이 T 세포의 암세포 사멸 기능을 활성화해 단독 투여 시뿐만 아니라 anti-PD-1과의 병용 투여 시에 보다 유의미한 항암 효과를 보였다”면서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면역 조절 단백질의 새로운 항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한편 지놈앤컴퍼니는 글로벌 면역항암제 전문기업으로 GENA-104, GENA-119 등 신규 타깃을 발굴해 면역항암 치료제를 연구개발 중이다. 지놈앤컴퍼니는 자체 연구개발 플랫폼인GNOCLETM을 통해 신규 타깃 물질을 발굴하고 있으며 ‘GENA-104’는 연내 임상 1상 IND 신청을 할 계획이다.
-
- 종합
- 교육
-
지놈앤컴퍼니 박한수 대표, 항암 효과 면역 조절제 발견 논문 ‘Advanced Science’ 게재
-
-
7개 개발도상국 공무원, 사이버한국외대 워크숍 통해 한국의 우수 행정제도 학습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장지호)는 지난 20일 개발도상국 공무원들이 정책 역량 강화 워크숍 및 시설 견학을 위해 방문했다고 밝혔다.행정안전부 소속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의 ‘2023년 개발도상국 지방행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이집트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7개국 14명의 공무원들은 먼저 사이버한국외대의 Full-HD 스튜디오를 방문, 첨단 장비를 이용해 강의 콘텐츠 제작 과정을 체험했다. 이들은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제작과 운영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디지털전환 전략과 관련해 자국에 적용 가능한 정책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기회 또한 가질 수 있었다.스튜디오 견학을 마친 후 공무원들은 사이버한국외대 지방 행정·의회학과장 최창수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워크숍에 참여했다. 워크숍을 통해 이들은 우리나라의 정부혁신, 우수 행정제도와 사례에 대해 학습하는 한편 각국의 정책사례에 대해 공유하고 의견을 주고받는 토론의 시간을 통해 정책역량 강화 및 상호 간 발전을 도모했다.최창수 교수는 “대면 연수가 재개돼 다시금 각국의 공무원들을 모시고 워크숍을 진행하니 감회가 새롭다”며 “이를 통해 각국의 발전은 물론 우리나라와의 우호협력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종합
- 교육
-
7개 개발도상국 공무원, 사이버한국외대 워크숍 통해 한국의 우수 행정제도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