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왁킹 댄서 ‘왁씨’ 정시연 ‘레드불 댄스 유어 스타일’ 우승
-
-
레드불은 지난 5일 독일에서 열린 ‘레드불 댄스 유어 스타일’에서 왁씨(정시연, 30)가 우승했다고 밝혔다.
레드불 댄스 유어 스타일은 별도의 심사위원 없이 관객들이 현장에서 직접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댄서와 관객이 함께 호흡하고 즐기자는 취지의 스트릿 댄스 이벤트다. 모든 장르의 댄서들이 참가할 수 있기에 무대 매너와 퍼포먼스, 창의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번에 왁씨는 와일드카드로 선정돼 일찌감치 월드 파이널행을 결정했으며 16강부터 차례대로 킹 다빈치(나이지리아), 조슈아(네덜란드), 더크라운(미국), 지오(네덜란드)와 배틀을 벌였으며 왁킹뿐만 아니라 팝핑, 크럼프, 브레이킹 등의 장르의 춤도 활용해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왁씨는 스트릿 우먼 파이터 시즌2가 끝난 직후 독일행 비행기를 타며 극한의 스케줄을 소화한 것에 대해 “레드불에서 와일드카드 연락이 왔을 때 고민하지 않고 승낙했다. 하지만 방송과 겹치면서 연습을 거의 못 해서 이미지 트레이닝을 많이 하고 틈날 때마다 몸을 체크하며 배틀 감각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히며 “댄서로서 스트릿 댄스 씬을 놓고 싶지 않다. 배틀은 물론이고 방송 출연도 활발히 하며 스트릿 댄스 씬을 알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갈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레드불 댄스 유어 스타일은 내년 한국에서도 열릴 예정이다.
-
2023-11-06
-
-
HD현대사이트솔루션 “건설기계 분야 세계 최초 RE100 가입”
-
-
HD현대사이트솔루션(대표이사 조영철)이 건설기계 분야 세계 최초로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에 가입했다고 6일 밝혔다.
RE100은 다국적 비영리기구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과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의 주도로 2014년 시작된 글로벌 캠페인이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가입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언제까지 전력 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달성하겠다고 공표해야 하며, 진행 여부를 CDP로부터 검증을 받아야 한다.
또한 매년 100GWh 이상의 전력을 소비해야 하고, 해당 사업군에 키 플레이어로 포춘 1000대 기업에 달하는 자격을 충족해야 하는 등 가입과 검증절차가 까다롭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자회사인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와 함께 국내외 사업장의 에너지 효율화와 태양광 자가 발전 구축, 재생에너지 PPA(Power Purchase Agreement : 전력 구매 계약) 활용 등 다양한 방안을 실행함으로써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전환 비율을 100%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선언한 2045년 RE100보다 5년 앞당긴 것으로, 단계별로 2026년 20%, 2030년 60%의 세부 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우선 HD현대사이트솔루션과 HD현대건설기계는 2025년까지 주요 생산거점인 울산캠퍼스의 선진화로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제조 공정을 효율적으로 재편해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도모하고, 에너지 모니터링 및 데이터 통합 관리 설비와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활용 측면에서는 HD현대건설기계가 중국과 인도 사업장 운영에 태양광 에너지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중국법인은 지난해 11월부터 연간 생산작업에 필요한 전력의 절반에 해당하는 3800㎿h를 태양광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인도법인은 9월부터 인근 유휴 부지에 태양광 발전 시설과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인도 생산공장 연간 전력 소모량의 70%를 공급받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도 7월부터 재생에너지를 외부에서 조달하는 방법인 재생에너지 PPA를 통해 국내 사업장에 친환경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사업장 건물 지붕 및 주차장 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자가발전 설비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
2023-11-06
-
-
대웅제약, 마이크로니들 패치 형태 비만치료제 개발 본격화
-
-
대웅제약(대표 전승호, 이창재)은 GLP-1(Glucagon-Like Peptide-1) 유사체를 탑재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형태의 비만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6일 밝혔다.
1cm² 초소형 패치를 팔·복부 등에 부착하는 마이크로니들 방식은 주사·경구 등 기존 비만치료제에 비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평가받는 첨단 제형이다. 대웅제약은 내년 초 임상 1상을 시작해 2028년 상용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대웅제약이 준비 중인 마이크로니들 비만치료제는 팔·복부 등 각질층이 얇은 부위에 1주일에 한 번 붙이기만 하면 된다. 신경세포를 건들지 않아 통증이 없으며, 기존 주사제와 비교할 때 동일한 약효를 갖는다. 상온 보관이 가능해 주사제처럼 유통 과정에서 콜드체인 시스템도 필요 없다. 몸에 부착된 마이크로니들은 미세혈관을 통해 GLP-1 약물을 전달한다.현재 GLP-1 유사체를 활용한 비만치료제의 대세는 ‘피하주사제’다. 1일 1회 또는 1주 1회 주사 제품이 가장 일반적인데, 반드시 냉장보관을 해야 한다. 또 환자가 직접 주사를 투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상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약효가 떨어지기도 한다. 경구제 비만치료제는 생체이용률이 1% 정도로 흡수율이 매우 낮고 구토, 메스꺼움, 설사 등 부작용이 있다.대웅제약은 앞서 R&D 전문 계열사 대웅테라퓨틱스(대표 강복기)를 통해 자체 플랫폼 ‘클로팜’을 활용한 GLP-1 유사체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계열 마이크로니들 패치에 대한 비임상을 완료하고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후 기술이전을 통해 대웅제약이 내년 초 임상 1상을 시작한다.한편 대웅테라퓨틱스의 자체 마이크로니들 기술 플랫폼 클로팜은 제조, 포장 등 분야에서 국제특허(Patent Cooperation Treaty, PCT) 6건, 국내특허 23건(등록 5건)을 출원했다.
-
2023-11-06
-
-
서울대 김윤영 석좌교수 아시아 학자 최초 ‘레일리 렉처상’ 수상
-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기계공학부 김윤영 석좌교수가 미국기계학회에서 아시아 학자로는 최초로 ‘레일리 렉처상(Rayleigh Lecture Award)’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 상은 소음 제어 및 음향 분야에서 과학·산업에 선구적인 공헌을 한 개인에게 수여되는 것으로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함께 특별 강연 기회가 주어진다. 1985년 제정된 이래 아시아 학자는 수상한 사례가 없었다.
김 석좌교수는 초음파 등을 이용해 비파괴검사 및 진단 기술을 한 단계 올리는데 필요한 ‘탄성 메타물질’ 분야에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수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석좌교수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에 쌓이는 이물질의 축적 상태를 배관을 분해하지 않고도 평가’할 수 있는 기술, ‘수중에 잠긴 배 내부를 초음파로 이미징’하는 기술 등을 개발한 바 있다.
-
2023-11-06
-
-
올거나이즈 27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마무리, 누적 투자 유치액 468억
-
-
올거나이즈(대표 이창수)가 270억원(20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6일 밝혔다. 올거나이즈는 2025년 일본 증시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투자에는 신규 투자사인 인터베스트, 뮤렉스 파트너스, SK텔레콤, KB인베스트먼트, LG테크놀로지벤처스 등이 합류했으며 기존 투자사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퓨처플레이 등이 후속 참여했다.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한화 468억원(3500만달러) 규모다.
2017년 설립된 올거나이즈는 한국, 미국, 일본 3개국에서 동시에 사업을 진행하며 현재 200개가 넘는 엔터프라이즈 기업과 공공기관에 인공지능(AI)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카드, KB증권, 일본 SMBC 금융그룹 등 글로벌 금융사를 중심으로 통신사, 리테일 그룹, 증권사, 보험사 등의 고객사들과 협업해왔다. 일본 내 높은 수요를 바탕으로 2022년 본사 기능을 일본으로 이전, 2025년 일본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다양한 직군에서 쌓아온 산업별 AI 지식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AI 기술과 솔루션들을 제공하고 있다. AI가 자연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찾아주는 AI 인지 검색 솔루션 ‘알리(Alli) 앤서’가 대표적이다. 알리 앤서는 기업 문서를 빠르게 분석, 요약해 제공하며 업무 생산성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챗GPT 열풍에 발맞춰 생성형 AI 기술을 발 빠르게 도입, ‘알리 LLM 올인원 플랫폼’으로 사업 모델을 확장했다. 플랫폼에서 LLM을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앱 빌더, 산업 특화 sLLM(경량화 LLM 모델), 앱 마켓 등의 다양한 솔루션을 운영하고 있다. ‘알리 LLM 앱 빌더(App Builder)’를 활용해 노코드 형태로 기업 맞춤형 LLM 앱을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올거나이즈가 산업 특성에 맞춰 경량화한 ‘알리 sLLM’도 온프레미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유일의 LLM 앱 마켓인 ‘알리 LLM 앱 마켓’ 솔루션의 보급을 확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기업이 앱 마켓에 등록된 LLM 앱 가운데 필요한 앱을 골라 직군별 업무에 활용하거나 앱을 노코드로 직접 생성해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올거나이즈와 함께 기업 전용으로 특화된 sLLM을 구축해 온프레미스 LLM 앱 마켓을 만들면 기업 내부의 전문 용어나 약어가 반영된 업무 생산성 앱도 쉽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올거나이즈는 투자금을 활용해 기업 전용 LLM 앱 마켓의 보급을 확대하고, 한·미·일 3개국에서 기업용 업무 자동화 AI 보급을 가속하는 데 힘쓸 계획이다.
-
2023-11-06
-
-
묵스무, 수산물 수입 유통업체 바이스와 사업 제휴
-
-
블록체인 기반 유통 플랫폼 묵스무(MOOxMOO)는 최근 수산물 전문 수입 유통업체 바이스(BAIS)와 사업 제휴를 체결해 수입육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산 고등어 △모로코산 대형 갈치 △베트남산 낙지 등 수입 수산물 유통 분야에도 SBT 기술을 도입, 수산물 수입 및 유통 분야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바이스는 이번 사업 제휴를 통해 MOOxMOO재단이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술과 지원을 바탕으로 수입 수산물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국내 유통에 힘쓸 계획이라며, MOOxMOO재단이 개발하고 있는 B2C 플랫폼에 수산물 상품을 입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분석을 통한 수요 예측 기반의 신규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연관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MOOxMOO재단은 바이스 외에도 비슷한 사업 분야의 제휴를 확대해 육류 수입 유통뿐만 아니라 수입 농·수산물 영역까지 SBT 기술을 도입, 거래 투명성 확보와 매출 파트너십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설계하고 있다고 로드맵을 설명했다.
-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