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하나은행 수출입 무역서류 전자적으로 양수도 할 수 있는 전자선하증권 서비스 출시
-
-
하나은행(은행장 이승열)은 글로벌 전자선하증권 플랫폼과의 API 개발로 구축한 자체 시스템을 통해 유통 가능한 ‘전자선하증권 서비스’를 시중은행 최초로 출시했다고 밝혔다.
‘전자선하증권 서비스’는 권리증서인 선하증권(B/L, Bill of Lading)을 포함한 수출입 무역서류를 당사자 간에 전자적으로 양수도할 수 있는 서비스로, 하나은행과 글로벌 전자선하증권 플랫폼 ‘ICE Digital Trade(구 essDOCS)’가 3월에 체결했던 업무협약에 따라 도입됐다.
종이로 발행돼 국제 우편을 통해 수입업자에게 전달되던 기존의 방식이 전자적 방식으로도 가능해짐에 따라, 선하증권 실물서류의 분실위험이 해소되고 우편 지연에 따른 L/G발급의 번거로움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출입 거래기간 단축과 함께 페이퍼리스(Paperless)를 통한 에너지절약과 탄소배출 감소 등 ESG경영 실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은행은 이번에 선보인 ‘전자선하증권 서비스’와 6월 시행한 ‘AI 수출환어음매입 전산 자동화 서비스’를 통해 손님이 은행을 방문하지 않고도 비대면·실시간으로 수출입 업무의 모든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외국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
2024-12-05
-
-
동아쏘시오홀딩스 준법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37301 인증 획득
-
-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김민영)는 준법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37301 인증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ISO 37301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준법경영 정책과 리스크 관리 체계가 글로벌 수준에 부합한지 평가하기 위해 2021년 제정한 국제 인증 규격이다.
이번 인증은 국제인정기관(ANSI National Accreditation Board, ANAB)과 영국왕립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가 동시 심사, 평가해 부여한 것이다. ANAB는 BSI와 같은 인증 기관을 관리, 감독하고 심사원의 자격을 부여하는 인정 기관이고, BSI는 인증을 신청한 업체에 인증서를 발행하는 인증 기관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4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ISO 37301인증서 수여식을 가졌다. 수여식에는 김민영 동아쏘시오홀딩스 대표와 임성환 BSI Korea 대표를 비롯해 관계자들이 함께 했다.
앞서 동아쏘시오홀딩스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Anti-Bribery Management Systems, ABMS) ISO 37001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ABMS는 조직이 뇌물수수 및 부패를 예방, 감지 등 조직에서 발생 가능한 부패 행위를 사전에 식별하고 통제하는 경영시스템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뇌물 및 부패보다 한 단계 나아가 비즈니스와 관련된 법률 및 규정 리스크를 식별하고 통제하는 준법경영시스템(Compliance Management System, CMS)으로 확장하기 위해 이번 인증을 획득했다.
인증 획득으로 동아쏘시오홀딩스는 공정거래, 반부패, 자본시장법, 기업 지배구조, 노동법 관련 법규를 점검하고, 준법 리스크 관리, 개선 및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향후 환경, 정보보호 등에 대한 법규 관리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인권경영 △준법경영 △환경경영 △소비자중심경영 △CSR 5대 카테고리로 나눠 사회책임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정기적인 준법교육을 통해 청렴윤리에 대한 임직원 이해도를 높이고, 투명성 제고, 반부패문화 및 준법경영을 강화해 왔다.
-
2024-12-05
-
-
레이저옵텍 주홍 회장 KIST 기업혁신성장 기술협력 심포지엄에서 성공스토리 강연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오상록)가 주최한 ‘기업혁신성장 기술협력 심포지엄’에 레이저옵텍(대표 이창진) 주홍 회장이 KIST 연구원에서 사업가가 된 이야기를 공유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KIST는 과학기술 자립을 통한 경제개발을 목적으로 1966년 설립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기업혁신성장 기술협력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기술력을 보유한 외부의 혁신 기업들과 기술 및 사업적으로 활발하게 교류하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서울 성북구 KIST 국제협력관에서 지난주에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주홍 회장은 ‘연구원 창업에서 코스닥 상장까지’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KIST 연구원 출신으로서 어떻게 사업을 시작하게 됐는지, 그리고 어려움은 어떻게 극복했는지, 마지막으로 코스닥 상장 이후의 지속적인 성장 계획은 무엇인지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진솔한 이야기가 참석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인하대 레이저 물리학 박사 출신의 주홍 회장은 KIST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던 지난 2000년 창업에 도전했다. 처음 KIST에서 창업 승인을 받을 때는 파장대에 따라 특성이 다른 광통신용 부품을 검사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우연히 들른 KIMES 전시회에서 병변 치료용 레이저 의료 기기를 접하고, 사업의 방향을 틀어 의료용 레이저 개발에 매진해 왔다.
이렇게 국내 기술 기반의 피부용 레이저 기기 개발이 이뤄졌고 올해 초 코스닥까지 상장시켰다.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 미용 목적 레이저 장비의 국산화 성공과 끊임없는 기술개발 및 수출을 통해 K-뷰티 산업 발전과 의료기기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주홍 회장은 “KIST 연구원 출신인 제가 코스닥 상장사의 회장으로 이 자리에 다시 서게 돼 감회가 무척 새롭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또 “24년 전 IT 붐을 타고 KIST에서만 저를 포함해 16명의 연구원이 창업에 도전했지만 15명은 사업을 접거나 KIST로 복귀하고 저만 혼자 살아남았다”며 “창업에서 기술력이 중요하지만 시장을 보는 안목,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 개발 능력,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기술만으로는 절대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KIST 연구원 출신인 주홍 박사가 2000년 설립한 레이저옵텍은 레이저 기반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약 50개국에 자체 브랜드로 제품을 수출해 피부과 등 전세계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2023년 매출 344억원을 달성하고 올해 2월 코스닥에 상장했으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해외 영업 강화를 통해 2027년 매출 약 8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2024-12-05
-
-
롯데장학재단 한국외대 학생 22명에게 8,800만 원 장학금 전달
-
-
롯데장학재단(이사장 장혜선)은 지난 4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국제회의실에서 '2024년 하반기 신격호 롯데 41기 희망장학생 장학증서 수여식'을 갖고, 학생 22명에게 장학금 8,800만 원을 전달했다.
희망장학금 사업은 1983년 시작된 롯데장학재단의 대표 사업이다. 경제적 도움이 필요한 대학생들에게 생활비 명목의 장학금을 지원하고, 이들이 받은 도움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사업의 목적이다.
이날 장학금 수여식에는 롯데장학재단 이찬석 사무국장, 김춘식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부총장을 비롯해 경희대학교, 동국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 6개 대학에서 선발된 희망장학생 16명이 함께 했다.
이찬석 사무국장은 “장차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 힘쓸 희망장학생들의 앞날에 재단의 지원이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면서 “이번 장학금을 계기로 장학생들이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실천하는 훌륭한 인재로 성장하기를 당부한다”고 했다.
롯데장학재단은 현재 13개 대학(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한양대)을 대상으로 신규장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희망장학생들에게는 졸업할 때까지 학기당 학업보조비 400만원이 지원되며, 선발된 장학생들은 1년 동안 120시간 이상 봉사활동을 진행해야 장학금 수령이 가능하다.
2024년 신규 선발된 희망장학생은 230명이며, 올해 하반기 기준 이들에게 지급된 장학금은 총 9억 2,000만원이다. 기존 장학생까지 포함하면 올해에만 총 718명의 희망장학생들에게 약 44억 7,000만원의 장학금이 전달됐다.
-
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