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BNK부산은행과 케이뱅크가 준비 중인 대출 상품 ‘혁신 금융서비스’ 지정
-
-
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은 케이뱅크와 공동으로 준비 중인 개인신용대출 상품이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 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지정은 지난 1월 양 은행이 체결한 전략적 마케팅 제휴 협약의 주요 성과로 양사는 올 하반기 중 대출 재원을 공동 부담하는 개인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해당 상품은 케이뱅크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고객이 대출을 요청하면 양 은행은 각각 신용평가 및 심사를 진행한 후, 공동으로 한도와 금리를 결정한다. 실행된 대출금은 부산은행과 케이뱅크가 5대5 비율로 분담하며 신청부터 실행,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케이뱅크 앱에서 원스톱으로 제공된다.
부산은행은 이번 협업을 통해 그동안 축적된 신용평가 모형(CSS) 역량과 금융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케이뱅크의 디지털 플랫폼 기술과의 시너지를 통해 경쟁력 있는 상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은행 신식 개인 고객 그룹장은 이번 공동 신용대출은 지역 금융기관과 인터넷전문은행 간의 상생을 실현하는 첫걸음이며 다양한 분야로 협업을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금융소비자 편익 증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2025-07-10
-
-
재무구조 개선된 대한전선, 한신평 신용등급 A 받아
-
-
대한전선이 상향된 신용등급을 획득하며, 사업 안정성과 재무 건전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이하 한신평)로부터 기업 신용등급(ICR) ‘A’와 등급 전망 ‘안정적(Stable)’을 부여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2023년의 ‘A-, 안정적(Stable)’에서 한 단계 상향된 결과다.
기업 신용등급(ICR : Issuer Credit Rating)은 기업의 전반적인 사업 수익성 및 채무 상환 능력을 등급화한 것으로 회사의 대외 신인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대한전선은 호반그룹에 편입된 이후 견고한 재무 구조와 사업 환경을 구축함에 따라 기업 및 고객 신뢰도를 제고하고자 해당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한신평은 이번 등급 부여의 배경으로 △안정적 사업 기반 △외형 성장과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된 재무구조 등을 꼽았다. 10일 보고서 공개를 통해, 대한전선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품목인 해저케이블, 광케이블 사업 확장 등 추가적인 제품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원재료인 전기동의 가격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수직계열화된 생산구조 등을 통해 비교적 안정적인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호반그룹에 인수된 이후 재무적 지원과 유상증자를 통해 재무구조가 개선됐고, 유상증자 자금 및 영업에서 창출하는 현금흐름으로 재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싱가포르, 영국, 스웨덴 등 해외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로 수주 잔고가 증가세라고 설명하며, 연결 기준 순차입금이 2021년 말 4567억원에서 2025년 3월 말 (-)1261억원까지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번 평가는 등급 전망(Outlook)을 조정하는 과정 없이 신용등급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는 향후 상향 가능성을 예고하는 의미로 등급 전망을 먼저 ‘긍정적(Positive)’으로 조정한 뒤 신용등급을 상향하지만, 한신평은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채 곧바로 신용등급을 상향하며 대한전선의 높아진 대외 신인도를 반영했다.
이에 앞선 6월에는 나이스신용평가도 대한전선의 신용등급을 작년과 동일한 ‘A(Stable)’로 유지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로써 대한전선은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 두 곳으로부터 모두 ‘A’ 등급을 확보하며, 실적 성장세와 재무 안정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대한전선은 이번 신용등급 상향은 당사의 견조한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의 경쟁력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며 특히, 해저케이블, HVDC 케이블 시스템과 같이 성장성이 높은 제품군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긍정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지속적인 사업 확대와 책임 있는 경영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2025-07-10
-
-
LG CNS, 글로벌 AI 유니콘 코히어와 추론형 LLM 개발
-
-
LG CNS(대표 현신균)가 글로벌 AI 유니콘 기업 ‘코히어(Cohere)’와 손잡고 1110억 개의 파라미터를 갖춘 추론형 LLM(Large Language Model)을 공동 개발했다.
이번 LLM은 한국어와 영어 등 23개 언어를 지원하며, 추론 등 핵심 성능에서 글로벌 상위 모델을 뛰어넘는 결과를 보였다. LG CNS는 지난 5월 코히어와 70억 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한국어 특화 경량 모델을 출시한 지 두 달 만에 초대형 모델을 연이어 발표하며 생성형 AI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LG CNS는 금융, 공공 등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국내 고객들의 비즈니스 혁신을 위해 글로벌 시장에서 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코히어와 협력해 추론형 LLM을 개발했다. 추론형 LLM은 AI가 복잡한 문제에 대해 여러 변수를 고려한 논리적인 해답을 도출하는 모델로,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에이전틱 AI’ 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기술로 손꼽힌다.
‘에이전틱 AI’로 고객 비즈니스 혁신 도와
LG CNS는 코히어와 공동 개발한 초대형·경량형 2종의 LLM과 국내 대표 AI 모델인 LG AI 연구원의 ‘엑사원(EXAONE)’ 등 LLM 라인업을 갖춰 고객이 맞춤형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에이전틱 AI는 AI가 스스로 판단·추론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차세대 인공지능으로 비즈니스 자동화, 최적화 등에 활용도가 높다.
LG CNS는 이번 LLM 개발을 위해 코히어의 기업용 LLM인 ‘커맨드(Command)’ 모델에 LG CNS가 국내 전 산업 분야에서 축적한 IT 전문성과 AI 기술력을 결합했다. 특히, 코히어의 커맨드 모델은 이미 캐나다 최대 은행 RBC(Royal Bank of Canada) 등에서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어 글로벌 기업에서 검증된 바 있다.
LG CNS는 LLM을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제공해 고객사들이 민감한 데이터의 외부 유출 없이도 자체 인프라 내에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보인 LLM은 모델 압축 기술을 통해 2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갖췄다. 통상 파라미터 1000억 개 이상의 LLM에는 최소 4장의 GPU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고객사들은 회사의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LLM을 효율적인 비용으로 확보하면서도, 데이터와 인프라 주권을 확보하는 ‘소버린 AI’를 실현할 수 있다. ‘소버린 AI’는 국가나 기업이 자체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국의 언어, 법, 문화 등을 반영한 독립적인 AI를 만들어 운영하는 것을 뜻한다.
한국어와 영어 추론 능력에서 글로벌 LLM 앞질러
양사가 개발한 LLM은 한국어와 영어에서 우수한 추론 능력을 보였다. 양사의 자체 테스트 결과, 추론 능력 검증 대표 벤치마크 테스트인 △Math500 △AIME 2024 영역에서 한국어, 영어 모두 GPT-4o, GPT4.1, 클로드 3.7 소넷 등 글로벌 LLM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Math500’은 대학 수준 이상의 수학 문제 500개로 구성된 테스트로 AI가 얼마나 논리적으로 문제를 풀 수 있는지를 검증하며, ‘AIME 2024’는 미국의 수학 경시대회 문제를 활용해 AI의 수학적 추론 능력을 평가한다.
한국어 평가 테스트에선 온프레미스형 LLM 중 최고 수준 성능
양사의 LLM은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는 물론, 히브리어·페르시아어 등 소수 언어까지 총 23개 언어를 지원한다. 이 중, 한국어 평가 테스트에서는 온프레미스 방식의 LLM 중 현존 최고 수준의 성능(SOTA, State-of-the-Art)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평가 테스트인 △KMMLU △KO-IFEval에서 글로벌 LLM 대비 최고점을 달성했다. 특히, 파라미터 규모가 2배 이상 많은 Qwen3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복잡한 비즈니스 문제 해결과 한국어 기반의 정교한 소통이 가능해, 고객사의 업무 효율과 의사결정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KMMLU’는 한국어 이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다. 인문학·사회과학·응용과학 등 45가지 분야 전문가 수준의 지식을 담은 3만5000여 개의 객관식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KO-IFEval’은 구글과 예일대학교가 만든 ‘IFEval’을 한국어로 번역한 벤치마크 테스트로 LLM이 대화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지시 사항을 잘 따르는지를 평가한다. LG CNS는 코히어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며 LLM의 성능을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장 김태훈 전무는 “차별화된 AI 역량과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비즈니스에 특화된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AX를 선도하는 최고의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25-07-10
-
-
스토리 재단 ‘월드’와 맞손, IP 등록 단계서부터 신원 검증
-
-
스토리 재단이 블록체인상에 IP를 등록하고 라이선싱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소유권 검증을 강화하기 위해 신원 인증 및 금융 네트워크 ‘월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스토리는 콘텐츠와 IP가 무분별하게 활용되는 AI 시대에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IP를 통한 수익화를 실현하기 위해 개발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텍스트부터 영상, 음악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까지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들은 스토리의 블록체인에 IP를 등록함으로써 창작물을 보호하고 확장하며 수익화할 수 있다.
월드는 사용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고유한 인간임’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 인증 플랫폼 ‘월드 ID(World ID)’를 운영하고 있다. 월드 ID를 통해 모바일이나 웹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 사용자의 신원을 안전하게 인증하고, 자동화된 봇이나 생성형 AI와 구분되는 사람의 활동임을 입증할 수 있다. 스토리와 월드는 AI가 창작의 주체로 확장되면서 발생하는 소유권 불명확성, 저작권 침해, IP 오용 문제를 해결하고 창작자 권리 보호와 저작권 입증을 강화하기 위해 협업했다.
스토리는 기존 IP 검증 서비스(IPVS) 프레임워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월드 ID의 신원 검증 계층을 통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개인들은 IP를 등록하는 지갑이 실제 사람의 것임을 검증하고, 소유한 IP의 활용에 대한 라이선스 조건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창작자들은 생성형 AI 콘텐츠와 차별화된 자신만의 창작물에 대한 인증을 비롯해 IP 등록, 라이선스 등 소유권 전반을 보다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스토리와 월드는 올해 말까지 기술 통합을 완료해 정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스토리 재단 이사장 안드레아 무토니(Andrea Muttoni)는 “AI가 대규모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복제할 수 있는 환경에서 창작물의 원본을 검증하고 사람이 직접 창작한 저작물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IP 산업의 새로운 과제”라며 “스토리 블록체인에 월드 ID를 통합해 IP 등록 단계에서부터 저작권자가 사람임을 검증함으로써 창작물에 대한 신뢰와 보호를 강화하고, 인간 사회와 AI의 선순환적인 IP 생태계의 초석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월드 개발사 툴스 포 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에서 월드 ID를 총괄하는 아제이 파텔(Ajay Patel)은 “월드와 스토리는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입증과 신뢰 강화뿐 아니라, 창작자들이 작품의 2차 활용 범위와 보상을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며 “블록체인 기반 IP 인프라를 구현한 스토리와의 이번 협업을 통해 창작자들이 작품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더 많은 기회를 누릴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토리(Story)는 AI 시대의 지식을 지식재산권(IP) 형태로 토큰화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IP를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해 IP 보유자가 자신만의 고유한 아이디어를 보호하고 공유하며 수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곳이다.
과학, 창작 예술, 브랜드 등 다양한 IP 자산 클래스를 스토리 플랫폼을 통해 온체인에 연결함으로써 IP 보유자는 사람은 물론 AI 에이전트까지 자동화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2025-07-10
-
-
히타치 밴타라, 기가옴 보고서 선정 ‘리더 및 패스트 무버’
-
-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양정규)은 히타치 밴타라(Hitachi Vantara)가 시장 분석기관 기가옴(GigaOm)이 발표한 ‘AI 워크로드 최적화를 위한 고성능 스토리지’ 보고서에서 ‘리더 및 패스트 무버’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부문에서 발간된 첫 보고서에서부터 히타치 밴타라는 리더로 이름을 올리며, 복잡한 AI 및 머신러닝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엔터프라이즈 인프라 제공 역량을 인정받았다.
보고서는 AI 워크로드에 특화된 스토리지 솔루션의 기능, 혁신성, 실행력, 완성도, 확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리더를 선정한다. AI와 차세대 스토리지 플랫폼을 결합한 ‘히타치 iQ 포트폴리오’는 이같은 주요 평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빠르게 진화하는 엔터프라이즈 AI 수요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입증해 리더 및 패스트 무버로 선정됐다.
히타치 iQ의 세계적 수준의 서비스 품질(QoS)과 워크로드 격리 기능은 특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파일 시스템 기반의 정책 제어와 유연한 클러스터 아키텍처를 결합해 멀티테넌트(Multi-tenant)나 공유 환경에서도 고우선순위 AI/ML 워크로드에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일관된 성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GPU 다이렉트 스토리지 통합 기능을 통해 스토리지와 GPU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을 간소화하고, 최적화된 드라이버 기반으로 AI 및 ML 워크로드에서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데이터 레이아웃과 지능형 관리 기능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히타치 iQ는 TLC(트리플레벨셀) 및 QLC(쿼드레벨셀) 기반의 고성능 NVMe 플래시 스토리지와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포함한 다양한 스토리지 계층에서 자동화된 데이터 배치 기능을 지원한다. 실시간 모니터링과 사용자 정의 정책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 유형에 대해 최적의 성능과 비용 효율을 동시에 실현한다.
보고서는 히타치 밴타라의 기술 혁신 역량도 높이 평가했다. 히타치 iQ와 엔비디아(NVIDIA) 데이터 플랫폼 간 협업을 대표 혁신 사례로 언급하며, 올해 3월 발표된 ‘히타치 iQ M 시리즈’를 비롯한 차세대 AI 솔루션 및 하드웨어 로드맵의 미래 지향성을 조명했다. 또한 VSP One 오브젝트를 활용한 계층화와 VSP One 블록의 압축 기능을 통해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점을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강조했다.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히타치 밴타라의 히타치 iQ를 국내 기업의 IT 환경과 비즈니스 요구에 맞게 최적화해 ‘HS효성 AI 플랫폼’이라는 이름으로 공급하고 있다. 슈퍼마이크로 GPU 서버와 고성능 데이터 처리를 위한 HCSF 기반 AI 스토리지를 중심으로 해머스페이스, 엔비디아, AMD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데이터 오케스트레이션, 하이브리드 GPU 연산 자원 및 다양한 AI 솔루션을 통합 제공한다. 아울러 AI/ML 옵스 솔루션, GPU DB, 벡터 DB, 고속 네트워크 등과 연계해 효율적인 AI 환경 구축과 운영을 지원한다.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양정규 대표는 “IT 환경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리더 선정은 히타치 iQ가 실제 고객 환경에서 검증된 성능과 지능형 데이터 운영 역량을 갖춘 솔루션임을 입증한 결과”라며 “국내에서도 차세대 AI 인프라에 요구되는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의 데이터 혁신을 주도하고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2025-07-10
-
-
BC카드와 네이버페이,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QR결제 인프라 구축
-
-
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가 네이버페이(이하 ‘Npay’)와 손잡고 KT에스테이트가 운영하는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 QR결제 인프라를 구축하며 호텔 간편결제 시장 혁신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앞으로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 내 식음료장(페메종, 미오, 레스파스 등) 방문 고객은 BC카드 생활 금융 플랫폼 ‘페이북’과 ‘Npay’ 앱을 통해 간편하게 QR코드로 결제할 수 있다. 결제 방법은 휴대폰에서 각 사 앱 구동 후 결제에서 생성한 QR코드를 식음료 부대시설에 제시하면 된다.
이번 국내 최고급 호텔 내 QR결제 인프라 도입은 BC카드, Npay, KT에스테이트가 지속해 온 간편결제 협력의 연장선에 있다. 3사는 2024년 KT에스테이트가 운영 중인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 선제적으로 QR결제를 도입했으며 향후 안다즈 서울 강남,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 등 기타 KT 호텔에도 QR결제 인프라를 확대 예정이다.
정철 BC카드 상무는 “이번 협업은 호텔을 찾는 고객에게 간편하고 직관적인 결제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었다”며 “앞으로도 BC카드와 Npay의 견고한 파트너십에 KT그룹 시너지 효과가 더해짐으로써 다양한 분야로 간편결제 생태계 확장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2025-07-10
-
-
Azwell AI, NVIDIA 차세대 데스크톱 AI 슈퍼컴퓨터 국내 공급
-
-
에즈웰에이아이(Azwell AI)는 국내 최초로 NVIDIA의 차세대 데스크톱 AI 슈퍼컴퓨터 DGX™ Spark 1500대를 국내에 단독 공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되는 모델은 NVIDIA의 글로벌 한정 생산 제품으로, 엔비디아 공식 총판인 에즈웰에이아이가 국내 최초로 1500대를 데스크톱 AI 슈퍼컴퓨터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한국 AI 인프라 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VIDIA DGX Spark는 새로운 범주의 컴퓨터로, Agentic AI, 생성형 AI, 대규모 언어 모델(LLM), 고성능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사용 사례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의 핵심에는 NVIDIA Blackwell GPU와 NVIDIA Grace CPU를 결합한 NVIDIA GB10 Grace Blackwell 슈퍼칩이 탑재돼 있어, 뛰어난 연산 효율성과 확장성을 구현한다.
NVIDIA는 이 제품을 ‘책상 위의 Grace Blackwell AI 슈퍼컴퓨터’로 소개했으며 이미 시장에서는 초소형 폼팩터에 슈퍼컴퓨터급 성능을 담은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즈웰에이아이는 "이번 출시가 단순한 하드웨어 공급을 넘어, 한국 AI 생태계 도약의 촉매가 될 것이며 프리랜서 개발자, 스타트업, 연구소, 대학, 병원 등 다양한 사용자가 생성형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적의 인프라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에즈웰에이아이는 NVIDIA 파트너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공적인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제조·금융·헬스케어·물류·엔터테인먼트 등 프로젝트마다 고객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공급하고 현장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AI 시스템을 더욱 정교하게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
2025-07-10
-
-
솔트웨어 공정거래 데이터 활용 공모전 대상 수상, AI 기술력 입증
-
-
솔트웨어(대표 이정근)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주최한 ‘제1회 공정거래 데이터 활용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해 AI 기술력을 또다시 입증했다.
솔트웨어 AI Platform Group의 AI개발팀은 이번 공모전에 참가해 ‘프랜차이즈 융복합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 주제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Track 2(공정거래 혁신 인공지능 모델 개발) 부문에서 최고의 영예를 안았다.
미국 웨이츠 & 비아시스(Weights & Biases)사에서 운영하는 한국어 평가 리더보드에서 오픈소스 모델 분야 1위를 기록한 성과에 이어 AI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공모전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개방 데이터를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과 AI 모델·데이터 분석 기반의 행정 혁신을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기획한 것으로, ‘Track 1: 공정거래 혁신 아이디어 기획’과 ‘Track 2: 공정거래 혁신 인공지능 모델 개발’로 나뉘어 진행됐다.
솔트웨어는 프랜차이즈 도메인에 특화된 임베딩 모델을 직접 파인 튜닝하고, 독자적인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아키텍처를 구현해 사용자 질문에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기존 대비 약 7%p(BERT-score 기준)의 성능 향상을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솔트웨어 하재환 매니저는 “이번 공모전은 솔트웨어가 보유한 생성형 AI 및 LLM 기술의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공공 영역에서 솔트웨어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개발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솔트웨어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레드햇, 오라클 등 글로벌 벤더사와 협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ISV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파트너십 체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기존 사업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AI 비즈니스의 성장세에 따라 1분기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
2025-07-10
-
-
하나은행 퇴직연금 ETF 판매 잔고 3년 8개월 만에 2조 돌파
-
-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의 판매 잔고가 3년 8개월 만에 2조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특히 하나은행 퇴직연금 ETF 판매 잔고는 지난 2024년 11월에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후 불과 8개월 만에 2조원을 달성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퇴직연금 ETF’는 가입자들이 본인의 적립금을 상장지수펀드에 투자해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가 가능해 손님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자산의 장기 수익률을 개선하고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매우 엄격히 투자상품을 선정하고 있다. 이러한 엄격한 상품 선정 절차를 지키면서 2024년 4분기 이후 50여 종의 ETF 상품을 추가 라인업해 현재 159개의 ETF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손님 니즈와 장기투자에 유효한 상품을 적극적으로 공급한 것이 판매 잔고 급증으로 이어졌다.
특히 국내에서 가입 가능한 800여 종의 ‘퇴직연금 ETF’ 중 위험 대비 수익률, 보수, 외부 펀드 평가기관의 평가등급 등 다양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ETF 상품을 선별해 판매하고 있다. 또한,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해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운용성과 등 경쟁력이 열위한 상품은 판매를 중단하는 등 엄격한 사후관리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가입 손님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매월 ‘ETF 가이드북’ 제공을 통해 손님에게 ETF 관련 최신 정보를 제공 △분할매수 시스템을 도입 △적립식 매수 서비스 제공 등 거래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왔다. 8월 중 ‘하나원큐’ 앱에서 ETF 상품 구성 종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화면 구성을 변경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하나은행은 지난 3월에 금융권 최초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운용 서비스’를 개시한 데 이어, 4월에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카카오톡으로 제공하는 ‘하나 MP 구독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포트폴리오 투자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연금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은행 연금사업단은 손님의 소중한 연금 자산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모든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연금 전문 1등 은행’ 답게 손님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하나은행은 2025년 1분기 말 기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총 4개 부문(적극 투자형·중립 투자형·안정 투자형·안정형) 중 3개 부문인 적극 투자형·중립 투자형·안정 투자형 연간 수익률이 모두 은행권 1위를 달성하면서 우수한 수익률 성과를 거둔 바 있다.
-
2025-07-10
-
-
서울대 강승균 교수팀 항암 치료 기술 DPw-DDS 개발
-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효진 박사팀, 광운대학교 김정현 교수팀, 경상국립대학교 김성찬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항암제를 암 조직 중심부에 정확히 도달시켜 부작용 없이도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항암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강 교수팀은 이온 전기동역학 원리(Ion Electrokinetics)를 활용해 약물의 저장·방출·침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 무선 소자를 통해 작동하는 ‘이중-영동 약물전달 시스템(Dual-Phoretic Wireless Drug Delivery System, DPw-DDS)’을 제시했다. 암 조직의 생물학적 장벽을 극복한 이 기술은 항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10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됐다.
기존에는 환자의 병든 인체 조직 중 세포가 조밀한 조직은 그 안에서 약물이 퍼지기 힘들어 약물 치료가 어려웠다. 그 특성상 조직이 치밀한 고형암을 치료하기 위해 항암제를 투여 시, 약물이 암 조직 깊숙이 침투하지 못해 약효가 저하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때 약효를 높이기 위해 고용량의 항암제를 반복 투여할 경우, 항암제의 독성이 오히려 주변의 정상 부위에 퍼져 심각한 부작용이 수반된다. 또한 약물에 대한 인체의 내성을 급속도로 올려 약효가 빠르게 저하되는 문제도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항암제를 암 조직에 정확히 도달시키기 위한 약물전달 기술이 그간 활발히 연구됐다. 그 중 ‘주사형’ 기술은 약물을 암 부위까지 ‘전달’하는 기능에 많이 집중됐고, ‘이식형’ 기술은 약물의 ‘저장’과 ‘방출’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고형암처럼 조밀한 조직을 치료하려면 약물의 전달·저장·방출에 더해, 약물을 암 조직 내부로 효과적으로 밀어 넣어 퍼뜨리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에 전기장을 통해 약물을 암 조직 내부로 침투시키는 연구도 발표됐으나, 이 기술은 감염 위험과 환자 관리의 어려움으로 임상 적용에 큰 제약이 있었다. 소자를 인체 내에 완전히 삽입하는 형태가 아닌, 투석처럼 체외로 통하는 연결관을 사용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진은 무선 소자를 체내에 삽입한 뒤, 소자가 방출한 약물이 전기장을 통해 암 조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해 암 조직 내부로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정밀 약물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온 다이오드를 이용한 ‘약물 방출 제어 기술’과 전기장을 통한 ‘조직 침투 기능’을 통합해 하나의 무선 이식형 디바이스에 구현한 ‘이중영동 약물전달 시스템(DPw-DDS)’을 고안한 것이다.
전기-이온 영동 원리에 기반한 이 시스템은 전압 조절만으로 약물을 정량적·펄스형(pulsatile)·반복적으로 방출(전기영동)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전기장을 통해 약물을 암 조직의 깊숙한 중심부까지 침투(이온영동)시킬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외부 전원 연결 없이도 무선 구동되고, 단일 기기로 저장·방출·침투·정량 제어까지 통합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치료 편이성도 갖췄다.
연구진은 이 시스템을 동물실험에 적용한 결과, 기존 약물 주사 방식과 대비해 4배 이상 높은 약물전달 효율, 종양 크기를 50% 이하로 줄이는 뛰어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5주 간의 체내 이식 실험에서도 간·신장 등 주요 장기와 정상 조직의 손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아, 기존 항암 치료의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처럼 암 환자들이 항암 치료 부작용으로 겪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항암제로 최대한의 치료 효율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이중영동 약물전달 시스템’은 구토, 탈모, 면역력 저하 등의 부작용을 겪던 암 환자들에게 큰 희망이 될 수 있다.
또한 약물을 새로 개발하거나 재설계하지 않고도 전달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어, 신약 개발 비용 및 시간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암 외에도 염증, 희귀난치성 질환 등 정밀한 약물 조절이 필요한 다양한 질환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아울러 무선으로 작동하는 이식형 시스템은 나노의약품, 단백질, mRNA 등 차세대 약물에도 활용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 이 시스템의 소재가 생분해성 소재로 확장될 경우, 체내 회수 없이 작동을 마치는 비회수형 의료기기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다.
강승균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약물의 저장, 방출, 침투를 하나의 이식형 무선 시스템에 통합한 이번 기술은 향후 정밀하고 효과적인 암 치료를 가능케 할 전망”이라며 “다양한 질환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효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는 “본 기술은 치료 효율을 높이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약물전달 솔루션”이라고 설명하며 “상용화와 임상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논문의 주저자인 최성근 박사는 지난 2024년 2월 서울대 재료공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 후,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향후 ‘이중영동 약물전달 시스템’의 임상 적용을 위한 확장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특히 바이오 일렉트로닉스에 기반한 정밀 의료 분야로의 진출을 목표로, 생분해성 소재의 비회수형 이식형 디바이스 개발과 나노 의약품, 단백질, mRNA 등 다양한 약물에 대한 적용성 확대를 위한 후속 연구를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다.
-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