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8-07(목)

전체기사보기

  • KRISO 기어 없는 상반회전 전기추진 파워트레인 개발 나서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소장 홍기용)는 HD현대일렉트릭, HD한국조선해양 등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관리하는 ‘상반회전 추진시스템 기반의 중대형 선박 전기추진시스템 개발’ 사업을 본격 착수했다고 7일 밝혔다. 총사업비 276.6억원인 이번 사업은 세계 최초로 기어 없는(gearless) 상반회전 전기추진 파워트레인을 개발해 기존 선박 추진 기술의 구조적 한계를 뛰어넘고, 차세대 친환경 선박 기술의 판도를 바꿀 기술 혁신을 목표로 한다. 현재 상반회전 추진시스템은 기어, 윤활, 냉각 장치 등 복잡한 기계 장치로 구성돼 있어 마찰 손실, 유지 보수 어려움, 외산 부품 의존도 등의 한계가 따른다. 이로 인해 기술적 실효성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사업화가 지연되고 있는 분야다. 이에 KRISO와 공동연구기관이 함께 개발하는 새로운 파워트레인은 두 개의 프로펠러를 전동기로 개별 제어함으로써 기어 없이 반대 방향 회전인 상반회전을 구현한다. 복잡한 기계 장치 없이도 동일한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추진효율 향상, 구조 단순화, 시스템 신뢰성 향상, 유지관리 용이성 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두 프로펠러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반회전 방식은 앞쪽 프로펠러에서 흘려보내는 회전 운동 에너지를 뒤쪽 프로펠러가 받아 전체 추진효율을 높이는 구조로, 선박이 적은 에너지로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KRISO는 ‘15MW급 전기추진 선박에 최적화된 파워트레인(전동기-이중축-상반회전 프로펠러)’을 개발한 뒤 자체 보유 중인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고효율성·신뢰성을 다각도로 실증하고, 선급 인증 및 국제 표준화까지 연결해 글로벌 기술 주도권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기술은 단순한 추진 장치 개발을 넘어 상선 시장에서 전기추진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관련 분야의 기술 초격차를 실현하고 국내 선박 추진시스템의 독립성과 자립화를 촉진하며, 탄소중립을 추구하는 미래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기술적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는 1973년에 설립돼 선박해양플랜트 분야에서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조선해양 산업의 발전에 기여해 온 곳이다. 친환경/자율 운항 선박, 해양플랜트/해양 에너지, 해양 안전, 해양 시스템 분야의 원천 기술 개발과 응용 및 실용화 연구 등을 하고 있다.
    • 경제
    • 기업
    2025-08-07
  • 엔에스랩 김동성 대표 IES에서 산업용 블록체인 관련 기조 연설
    엔에스랩(NSLab)의 김동성 대표(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겸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 센터장)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힐튼 더블트리 호텔에서 열린 ‘국제전자심포지엄(International Electronics Symposium, IES) 2025’(이하 IES 2025)에 기조연설자로 초청받아 ‘산업용 블록체인 응용: 퓨어체인과 퓨어엣지(Industrial Blockchain Application: Pure Chain and Pure Edge)’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기조연설에서 김동성 대표는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의 실제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엔에스랩이 자체 개발한 ‘퓨어 월렛(Pure Wallet)’, ‘퓨어 체인(Pure Chain)’, ‘퓨어 엣지(Pure Edge)’와 더불어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 ‘퓨어서티피케이트(Pure Certificate)’와 전자투표 시스템 ‘퓨어보팅(Pure Voting)’ 등의 구조와 기술적 강점을 소개했다. 특히 신뢰 기반의 인증 절차와 투명한 의사결정 구조를 가능케 하는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에 대해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기조연설 직후에는 블록체인 솔루션 기증식이 진행됐으며, 이 자리에는 국립 수라바야 전자공과대학교(PENS) 총장 아리프 이르완샤 교수, IES 2025 대회장 아마드 자이 교수, 그리고 국제교류 원장 아리스 리스키 교수가 참석했다. 김동성 대표는 IES 조직위원회 및 수라바야 지역 대학을 대상으로 퓨어서티피케이트와 퓨어보팅 시스템을 공식 기증하면서 “현지 교육기관이 디지털 인증과 전자투표 시스템의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IES 2025는 ‘지능형 연결성: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그린 ICT 구현(Intelligent Connectivity: Enabling Green ICT in Emerging Technology Services for Sustainable Living)’을 주제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사회 구축 방안을 심도 있게 다룬 국제학회다. 행사는 IEEE 인도네시아 지부와 일본 대학, 국내외 전문가와 연구자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엔에스랩과 국립금오공과대학교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가 공식 후원 기관으로 참여해 국제 협력과 기술 공유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더했다. 한편 엔에스랩은 20년 이상의 네트워크 개발 경험과 노하우, 200명 이상의 글로벌 석·박사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를 위해 설립된 연구소 기업이다. 산업 현장의 디지털 신뢰성 향상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을 개발 및 보급하고 있는 기술 스타트업으로 이번 IES 2025 참여와 기술 기증을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의 교류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 IT
    • 블록체인
    2025-08-07
  • HD현대 미국 AI 방산기업 안두릴과 한미 함정 시장 진출 박차
    HD현대가 미국의 AI 방산기업 안두릴 인더스트리(Anduril Industries, 이하 안두릴)와 함정 분야 협력을 넓히며 한미 양국 함정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 HD현대는 지난 6일 안두릴과 경기도 성남시의 HD현대 글로벌R&D센터(GRC)에서 ‘함정 개발 협력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 사업 대표와 안두릴 공동 설립자인 팔머 럭키(Palmer Luckey)가 참석했다. 이번 MOA는 지난 4월 안두릴과 맺은 양해각서(MOU)를 보다 구체화한 것으로, 양 사는 HD현대의 AI 함정 자율화 기술(Vessel Autonomy) 및 함정 설계·건조 기술과 안두릴의 자율 임무 수행 체계(Mission Autonomy) 솔루션을 상호 공급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한국 시장에서는 HD현대가 개발 중인 무인수상정에 안두릴의 자율 임무 수행 체계 솔루션이 탑재될 예정이며, 미국 시장에서는 안두릴이 주도해 개발한 유·무인 함정에 대해 HD현대가 설계, 건조를 담당하고 AI 함정 자율화 기술(Vessel Autonomy)도 공급하기로 했다. 또한 양 사는 한국과 미국 시장에서 각각 선보일 무인수상정(USV)의 프로토타입(시제품) 공동 개발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한국 시장의 USV 프로토타입은 2027년께 선보일 계획이다.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 사업 대표는 “무인함정은 미래 해전(海戰)의 핵심이자 필수 요소”라며 “최고 수준의 자율 임무 수행 체계 기술을 갖춘 안두릴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무인 함정을 개발하겠다”라고 말했다. 안두릴 팔머 럭키 공동 설립자는 “안두릴이 추진 중인 무인함정을 포함한 미 군함 시장 진출에 있어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HD현대의 함정 설계, 건조에 관한 기술 협력을 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앞으로도 미국과 한국 시장에서의 강력한 협력 파트너로서 윈윈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HD현대는 지난 6월 미국 조선 그룹사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ECO)’사와 미국 상선 건조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지난 4월에는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 및 방산 분야 핵심 기자재 업체인 ‘페어뱅크스 모스 디펜스’와 각각 MOU를 맺는 등 미국과의 조선 해양 분야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 경제
    • 기업
    2025-08-07
  • 파라택시스 홀딩스 “기업 합병 통해 최대 6억4000만 달러 확보 예정”
    파라택시스 코리아(Parataxis Korea)의 최대 주주이자 기관 투자자 중심의 디지털 자산 운용 플랫폼 기업인 파라택시스 홀딩스(Parataxis Holdings)가 실버박스 캐피탈(SilverBox Capital)의 계열사가 후원하는 특수목적법인(SPAC) 실버박스 코퍼레이션 IV와 최종 기업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업 합병이 완료되면 합병 법인은 파라택시스 홀딩스로 명명되며,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PRTX’라는 종목 코드로 거래될 예정이다. 이번 거래를 통해 설립된 합병 법인은 기관 투자 전문가로 구성된 리더십 팀이 이끄는 공개적이고 독점적인 상장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으로서 디지털 자산 분야의 성장 기회를 적극 공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기업 합병으로 최대 6억4000만달러에 이르는 자금을 확보할 예정이며, 확보된 자금은 비트코인(BTC) 트레저리 전략 실행과 기타 특수 상황 투자 확대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거래는 주당 10달러를 기준으로 진행되며 파라택시스 홀딩스의 예상 지분 가치는 약 8억달러로 평가된다. 파라택시스 코리아 신임 대표(CEO)로 내정된 앤드류 김(Andrew Kim)은 “파라택시스 코리아의 핵심 파트너사인 파라택시스 홀딩스가 미국 시장에 자산 관리 플랫폼을 상장하고 기업 성장을 위한 자본 기반을 확충할 획기적인 거래 소식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미국 자본 시장 내 한국 트레저리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입증된 만큼 한국에서 당사의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파라택시스 홀딩스와의 파트너십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파라택시스 코리아는 코스닥에 상장된 비트코인(BTC) 트레저리 기업이다. 국내 최초로 기관 투자 기준에 부합하는 BTC 재무 전략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경영진은 기관 금융, 디지털 자산, 리스크 관리 및 자본 시장 규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 경제
    • 기업
    2025-08-07
  • 시노펙스 국내 최초 IRB 승인 환자 임상시험 성공적으로 마쳐
    시노펙스가 국내 최초로 유럽 CE MDR 인증 조건인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임상시험 윤리위원회) 승인 환자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부산 범일연세내과(원장:이동형,대한신장학회 이사), 서울 연세푸른내과, 연세유내과 등 최근 강화된 멀티롤(Multirole) 조건을 적용해 3개 혈액투석 전문병원에서 유럽 CE MDR 인증 규정에 맞춰 진행됐다. 시노펙스는 지난해 10월 임상 전문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업체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해외 인증 요건에 맞춘 병원 확보 및 각 병원의 IRB 승인을 마치고 지난 3월부터 총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약 4개월간 진행됐다. 시노펙스는 이번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유럽 CE MDR 인증을 위한 기술문서 작성 등 후속 프로세스를 진행해 연내 인증 신청 접수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노펙스 인공신장 사업본부 이진태 본부장은 “이번 임상은 새롭게 강화된 CE MDR 승인 규정에 맞춰 서울과 부산 3곳의 혈액투석 전문병원에서 25명의 환우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기대 이상의 좋은 결과가 나왔다”라며 CE MDR 인증 획득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특히 이번 CE MDR 인증을 위한 임상과 별도로 서울대학교병원 등 5개 상급병원에서 시노펙스 혈액여과기(제품명Synoflux®)와 독일의 글로벌기업 제품과 비교 임상을 한 결과 일반 항목인 URR(요소 제거율), spKt/V(투석 적절도) 등에서는 비열등성을 나타냈으며, 환자 생존율과 심혈관 질환, 감염, 염증 등 혈액투석에 따른 합병증 예방의 중요 항목인 중분자 제거율에서는 오히려 우월한 성능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된 임상 결과는 6월 SCI급 국제 학술지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에 공식 논문으로 게재돼 시노펙스 혈액여과기의 안전성과 효능을 학술적, 임상적으로 입증받았다. 혈액 투석의 핵심 제품인 혈액여과기는 지난 60년간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으며, 시노펙스는 국산화 혈액여과기 제품을 출시해 국내 시장 공급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시노펙스는 지역별 주요 거점 병원을 대상으로 약 40개 병원에 제품을 공급해 사용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100개 병원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제
    • 기업
    2025-08-0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