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파나틱스 한국 지사 설립하고 최홍준 씨 지사장으로 임명
-
-
파나틱스가 한국 지사 ‘파나틱스 코리아’를 설립하고 지사장으로 최홍준 씨를 임명했다.
최홍준 지사장은 글로벌 스니커즈 리셀 플랫폼 스탁엑스의 한국 총괄을 역임하는 등 패션과 테크 산업에서 20년 이상 경력을 쌓아온 인사다.
파나틱스는 최홍준 지사장의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 스포츠 팬들을 위한 머천다이징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스포츠 팬들이 겪어온 불편 사항을 해소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파나틱스 코리아는 마사노리 카와나가 이끄는 동아시아 사업부 소속으로 운영되며 스포츠 팬들의 경험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파나틱스 코리아는 MLB 유니폼 등 인기 스포츠 공식 라이선스 상품의 접근성을 높이고, 부족한 제품 품목·잦은 배송 지연·언어 장벽 등 국내 팬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고질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주력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더 다양한 제품을 더 빠르고 매끄럽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장 진출 초기에는 리테일 제휴사들과 협력해 한국 전역의 팬들에게 다가가며 동시에 새롭고 흥미로운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온·오프라인 채널, 이벤트, 콘텐츠, B2B 등 다양한 접점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최홍준 지사장은 “이번 확장은 한국 스포츠 팬들에게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며 “한국 팬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파나틱스의 독보적인 글로벌 역량, 경험, 인프라를 처음으로 결합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나 역시 스포츠 팬의 입장에서 한국 팬들이 사랑하는 스포츠 팀의 공식 라이선스 상품을 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면서 “파나틱스는 이 업계가 팬들을 위해 무엇이, 그리고 어떻게 개선돼야 할지 정확히 알고 있으며 팬들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파나틱스 동아시아 총괄 마사노리 카와나는 “파나틱스가 이번 사업 확장으로 추구하는 장기 목표는 열정적인 한국 스포츠 팬을 위한 원스톱 쇼핑 플랫폼을 구축하고, 한국 스포츠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는 것”이라며 “팬들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할 날을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파나틱스는 전 세계 900개 이상의 주요 스포츠 팀, 리그, 협회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특히 김하성·이정후·오타니 등 인기 선수들의 MLB 유니폼 및 의류의 독점 배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NBA·NFL·MLS 등 미국 스포츠 리그, PSG·Chelsea·Juventus 등 주요 유럽 축구 클럽, Tokyo Giants, WWE, UFC, F1 등 수 많은 인기 클럽 및 리그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사업권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파나틱스는 전 세계 1억 명 이상의 스포츠 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했으며 인기 스포츠 프로 리그, 선수협회, 클럽, 대학 및 리테일 파트너를 포함해 900개 이상의 스포츠 파트너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0명의 독점 계약 선수를 포함한 4000명 이상의 선수 및 셀럽, 2000개 이상의 리테일 매장을 통해 팬 경험을 강화하고 있다.
-
2024-11-21
-
-
카스퍼스키, 인터폴 Synergia II 작전 협력해 40명 이상 사이버 범죄 용의자 체포
-
-
카스퍼스키(Kaspersky)가 인터폴(INTERPOL)의 Synergia II 작전에 협력해 40명 이상의 사이버 범죄 용의자가 체포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21일 밝혔다.
이 작전은 표적형 피싱, 랜섬웨어, 정보 탈취 등의 사이버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INTERPOL이 95개 회원국의 법 집행 기관과 민간 부문 파트너들과 협력해 진행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이번 작전에서 100명 이상의 용의자가 확인됐으며, 그중 41명이 체포됐다. 카스퍼스키는 전 세계에서 확인된 악성 인프라 데이터와 IoT 악성 소프트웨어 배포 관련 정보를 INTERPOL에 제공해 작전을 지원했다.
Synergia II는 2023년 Synergia 작전의 연장선으로 피싱, 악성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공격에 사용되는 인프라를 차단하는 데 중점을 뒀다. 그 결과 약 3만 개의 의심 IP 주소 및 서버를 확인해 이중 75% 이상이 차단됐다. 또한 법 집행 기관이 59개의 서버와 43개의 전자 기기(노트북, 모바일폰, 하드디스크 등)를 압수했다.
각국의 법 집행 기관들이 협력해 주요 성과를 거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홍콩(중국): 1037개의 악성 서버 차단
· 몽골: 주택 수색 21건, 서버 1대 압수, 93명의 용의자 식별
· 마카오(중국): 291개의 악성 서버 차단
· 마다가스카르: 악성 서버 관련 11명 확인, 11개의 전자 기기 압수
· 에스토니아: 80GB 이상의 서버 데이터 압수, 피싱 및 뱅킹 악성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추가 분석 중
한편 1997년 설립된 글로벌 사이버 보안 및 디지털 개인정보보안 전문 회사 카스퍼스키는 10억 개 이상의 기기를 최신 사이버 위협과 표적형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심층적인 위협 인텔리전스와 보안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전 세계 각지의 기업, 기간 산업 인프라, 정부 및 개인 소비자에게 혁신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엔드포인트 보호 솔루션, 특수 보안 제품 및 서비스, 사이버 면역 솔루션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보안 포트폴리오를 통해 카스퍼스키는 갈수록 정교해지는 디지털 위협에 맞서 싸우고 있으며 22만이 넘는 기업 고객이 카스퍼스키를 통해 중요 자산을 보호하고 있다.
-
2024-11-21
-
-
세계 138개 주요 도시 중 가장 비싼 상권은 밀라노의 비아 몬테나폴레오네
-
-
세계에서 가장 비싼 상권을 가진 곳은 어디일까? 이를 알아볼 수 있는 보고서가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에 의해 발표됐다.
보고서에 의하면 밀라노의 비아 몬테나폴레오네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리테일 상권으로 부상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대표 리테일 보고서인 ‘세계의 주요 리테일 상권(Main Streets Across the World)’에서 유럽이 글로벌 순위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로 34번째를 맞이한 이 보고서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독점 데이터를 활용해 전 세계 138개 주요 도시의 리테일 상권의 임대료를 분석하며 이중 다수가 럭셔리 부문과 연계돼 있다.
패션과 명품의 대명사인 밀라노의 비아 몬테나폴레오네는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순위가 상승해 2023년에는 처음으로 2위에 올랐다. 이 지역의 지난 12개월 동안 임대료는 제곱피트당 2047달러로 11% 상승한 반면, 뉴욕 어퍼 5번가의 임대료(2000달러)는 2년 연속 보합세를 유지했다. 비아 몬테나폴레오네는 제한된 공급 속 리테일러들의 수요가 계속되는 가운데 유로화 가치 상승의 혜택도 봤다.
런던의 뉴본드 스트리트(1762달러)가 홍콩 침사추이를 제치고 3위에 올랐으며, 침사추이는 임대료 성장에도 불구하고 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Avenue des Champs Élysée)는 연간 10%의 임대료 성장률로 5위를 유지했지만, 도쿄의 긴자 지역(Ginza district)의 임대료가 연간 25% 상승하며 격차를 좁혔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EMEA 리테일 부문 책임자인 로버트 트래버스(Robert Travers)는 “세계적으로 상징적인 장소는 어려운 소매 시장 상황에서도 치열한 공간 경쟁과 극도로 제한된 공급이 특징이다. 고급 브랜드에서 대중 브랜드까지 모든 브랜드가 최상위 상권에 오프라인 매장을 두 배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뛰어난 쇼핑 경험과 제품 전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커머스가 옴니채널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고객과 연결되는 것은 브랜드의 물리적 구현이다. 그 결과 공실률은 매우 낮게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리테일러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기꺼이 지불하는 임대료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한정된 공간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조사 대상 138개 지역 중 57%(79곳)에서 전년 대비 임대료가 증가했고 14%(19곳)만이 감소했으며 나머지 29%(40곳)는 보합세를 보였다. 그 결과 전 세계 평균 임대료는 4.4%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이 8.5%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는데, 이는 약 11%에 달하는 미국의 임대료 상승률에 힘입은 결과다.
유럽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각각 3.5%와 3.1%로 그 뒤를 이었다. 현재 138개 지역의 임대료는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평균 6% 높은 수준이다.
주요 상업지구는 2022년과 2023년의 금리 인상으로 촉발된 경제적 난관을 대부분 성공적으로 극복했다. 금리 인상은 생활비 급등, 소비 심리 위축,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졌다. 그러나 소매업은 이제 다가오는 금리 인하로 경기 회복, 생활비 부담 완화, 실질 임금 인상 등의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국제 리서치 책임자인 도미닉 브라운(Dominic Brown) 박사는 “소비자들의 선택적 지출 증가는 주요 리테일 상권의 퍼포먼스를 더욱 끌어올릴 것이다. 이것이 임대료 성장으로 이어지는 속도와 강도는 지역적 차이와 시장 동향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올해 전 세계적 성장은 미국이 주도했지만 일부에서는 예외적으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한 지역도 있었고, 여러 가지 이유로 임대료가 하락한 지역도 있었다. 하지만 최상위 상권의 성과는 ‘프라임’의 강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홍콩은 올해에도 글로벌 순위에서 4위를 차지하며 계속해서 강세를 보였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홍콩 매니징 디렉터인 존 시우(John Siu)는 “홍콩이 전 세계 최고의 상업 지구 중 하나로서의 위치를 유지하게 돼 기쁘게 생각하며, 이 성과는 어려운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도 홍콩 리테일 시장의 회복력과 매력을 보여준다. 앞으로 여러 리테일러들이 홍콩을 국제적으로 브랜드를 홍보하는 발판으로 삼아 홍콩의 임대 활동이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적 성과는 임대료에 밀접하게 반영됐다. 인도의 강력한 경제 성장을 기반으로 벵갈루루의 인디라나가르 100피트 로드(Indiranagar 100 Feet Road)는 연간 3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역 내 임대료 상승을 주도했다.
인도 내 16개 상권의 임대료 성장률은 전년 대비 평균 9% 증가했다. 동남아시아 경제도 견조한 내수 소비에 힘입어 호조를 보였으며, 자카르타(Jakarta)에서는 최대 7%, 그 외 다른 지역에서는 1~5%의 임대료 성장률을 기록했다. 일본은 저조한 성장 여건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성과를 보였다. 4년간 안정세를 보였던 임대료는 2024년에 긴자를 중심으로 25% 상승했으며, 오사카의 미도스지(Midosuji)는 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 리테일 본부 김성순 전무는 “한국의 주요 리테일 상권, 그중에서도 명동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여러 플래그십 매장의 오픈으로 공실이 크게 해소됐고 임대료도 완만한 성장을 보였다. 서울 주요 상권에서는 여전히 프라임 공간에 대한 높은 선호가 지속되고 있으며, 서울은 아시아의 대표적인 리테일 상권으로 자리잡으며 글로벌 브랜드들이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 K-컬처의 확장과 외국인 대상 메디컬 시장의 성장 등 새로운 트렌드가 한국 리테일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전세계 60개국 400여개 지사에 약 5만2000명의 전문가들을 둔 부동산 소유주들과 임차인들을 위한 선도적인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서비스 회사다. 작년 부동산, 시설 및 프로젝트 관리, 임대, 매입매각자문, 밸류에이션 등 핵심 서비스 부문에서 95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
2024-11-21
-
-
지피씨알 미국혈액학회 학술대회에서 AML 효과적 치료 전략 발표한다
-
-
지피씨알(대표이사 신동승)은 다음 달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미국혈액학회 연례학술대회(ASH 2024)에서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전략에 대해 포스터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포스터 제목은 ‘Combined CXCR-4 Inhibition with Novel Agent GPC-100 (burixafor) and Beta 2 Adrenergic Receptor Blockade Enhances Cytarabine Response for Acute Myeloid Leukemia Blasts on Stroma’다.
지피씨알은 미국의 저명한 암 전문 병원인 시티 오브 호프와 2023년 2월부터 공동연구를 지속해왔다. 공동연구 파트너이자 본 포스터의 발표자인 파멜라 벡커(Pamela Becker) 박사는 혈액암 전문의로서 AML 질환에서 핵심 오피니언 리더(Key Opinion Leader)로 꼽히는 저명한 인사다.
벡커 박사는 CXCR4와 ADRB2 (beta-2 adrenergic receptor,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동시에 공략해 혈액암을 치료하는 지피씨알의 기술에 주목했고, 올해 4월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 포스터 발표를 통해 이와 관련한 연구성과를 한차례 발표한 바 있다.
새롭게 ASH에서 채택돼 발표하게 될 연구결과는 앞선 AACR 포스터 발표에서 분석한 124명 AML 환자 시료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 및 기존 임상시험에 대한 후향적 연구 결과다. 분석 결과, AML 환자 유래 세포에서 회사의 핵심 파이프라인 GPC-100과 Propranolol 병용요법을 통해 CXCR4와 ADRB2를 함께 억제하면 AML 화학항암제 시타라빈(Cytarabine, AraC)의 항암 효능이 10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는 현재 조혈모세포 가동화제로서 임상 2상을 순항 중인 GPC-100 파이프라인이 AML 적응증에도 뛰어난 잠재력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
이에 더해 연구진은 과거 수행된 CXCR4 억제제 율로쿠플루맙(Ulocuplumab) 임상 2상 시험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수행해 ADRB2를 억제하는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를 복용했던 환자군에서 임상 효능 CR/CRi가 76.9%(13명 중 8명)까지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했다. 대비해 베타 차단제를 복용하지 않은 환자의 CR/CRi는 37.5%(48명 중 18명)에 그쳤다.
이는 회사의 핵심 사이언스인 CXCR4, ADRB2 동시 억제 치료법이 임상시험의 성공 확률을 크게 향상 시킴을 실제 환자 데이터에 근거해 보여주는 결과다.
신동승 지피씨알 대표는 “AML 분야의 대가인 파멜라 벡커 박사와 함께 AML 임상시험을 설계 중이다. 당사의 병용투여 전략으로 AML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재발률을 낮추는 혁신 치료법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피씨알(GPCR Therapeutics)은 약물 표적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GPCR에 특화된 신약 개발 전문기업이다. 대표적인 GPCR인 CXCR4을 중심으로 표적 특허를 확보하고 미국에서 임상2상 중인 다발성 골수종을 포함해 혈액암 및 고형암, 유전질환, 특발성 폐섬유증, 비만 등에 대해 다수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 BMS (Bristol-Myers Squib)에서 세계 최초의 면역항암제인 여보이(Yervoy)와 옵디보(Opdivo) 개발을 진두지휘하고 Vice President를 역임한 피나 카다렐리(Pina Cardarelli) 박사가 2019년부터 Chief Scientific Officer (CSO, 최고과학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2021년에는 미국 지사를 설립해 글로벌제약사의 기준과 수요에 부합하는 R&D를 진행하고 있다.
-
2024-11-21
-
-
한전, 사우디 2개 가스복합발전소 건설 및 운영 사업 낙찰자 선정
-
-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은 사우디 전력조달청(SPPC1) )이 국제입찰로 발주한 사우디 루마 1, 나이리야 1 가스복합발전소 건설·운영 사업의 낙찰자로 선정돼, 전력판매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앞서 한전은 사우디 전력조달청이 발주한 Round 5 Sadawi 태양광 사업과 미국 괌 전력청이 발주한 ESS 연계 태양광 사업을 수주했다. 올해 들어 세 번째 국제 입찰사업 수주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 중 중동에서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사우디 루마1, 나이리야1 사업은 각 1.9GW 규모의 복합화력 발전소를 2028년까지 건설해, 향후 25년간 생산된 전력 전량을 사우디 전력조달청에 판매하는 사업이다.
한전은 사우디 전력공사(SEC) 및 사우디 최대 민자발전사(ACWA Power)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바라카 원전사업 이후 최대 규모의 발전사업을 수주했다.
이 사업을 통해 지분 매출 약 4조원(약 30억달러)의 해외 매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발전소 건설공사는 두산에너빌리티가 참여해 약 2조원의 해외 동반수출을 기대하고 있다.
한전은 사우디에서 2009년 1.2GW급 라빅 중유화력 발전사업을 수주해 운영 중에 있으며 2022년에는 사우디 아람코에서 발주한 317MW 자푸라 열병합 발전사업을 수주해 건설 중으로 최근 수주한 Sadawi 태양광 발전사업과 이번 가스복합 사업을 추가로 수주함으로써 사우디 시장에서 한전의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중동지역 시장 내 사업 확대가 기대된다.
-
2024-11-21
-
-
롯데장학재단 필리핀 찾아 ‘신격호 롯데 글로벌 장학금’ 전달
-
-
롯데장학재단(이사장 장혜선)은 지난 20일 필리핀 팡가시난 주정부 청사(Ceremonial Hall, Urduja House)에서 ‘2024 신격호 롯데 글로벌 장학금 수여식’을 갖고 팡가시난 주내 4개 대학에 장학금을 전달했다.
수여식에는 장혜선 이사장과 라몬 기코(Ramon V. Guico III) 팡가시난 주지사 등을 비롯해 팡가시난 과학기술대학(Pangasinan Polytechnic College), 팡가시난 주립대학(Pangasinan State University), 팡가시난 동부대학(University of Eastern Pangasinan), 비날란통간 대학(Binalantongan Community College)에서 선발된 장학생들이 함께 했다.
이날 재단은 4개 대학 80명 장학생에게 학기당 450달러를 지원했다. 재단은 지난 3월 팡가시난 주 현지에서 총 7만 2,000달러의 장학금을 지급하는 양해각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장혜선 이사장은 “올해로 두 번째 방문할 만큼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는 필리핀에서 미래를 이끌 주인공들을 보게 돼 매우 기쁘다”면서 “우리의 장학금을 통해 여러분들이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했다.
전달식을 마친 후 장 이사장은 팡가시난 과학기술대학의 캠퍼스와 주요 시설들을 둘러보며 현지 교육 환경을 참관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롯데장학재단의 글로벌 장학금 지원사업은 2008년부터 시작된 것이다. 올해부터 지원한 필리핀과 캄보디아를 포함해 6개국 7,000여 명의 장학생들에게 지금까지 총 35억 원의 장학금을 전하며 인재 육성에 앞장서고 있다.
-
2024-11-21